검색결과
  • 제비·왕관 … 우체국 심벌 보면 문화가 보인다

    제비·왕관 … 우체국 심벌 보면 문화가 보인다

    공공장소에서는 문자보다 그림이나 기호로 정보를 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림과 기호는 문자에 비해 시각적으로 이해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우체국 심벌마크는 기관의 기능을 은유적으로

    중앙일보

    2007.08.10 04:47

  • 서울의 포장마차가 이렇게 예뻐집니다

    서울의 포장마차가 이렇게 예뻐집니다

    서울 거리 곳곳에 난립한 포장마차 같은 노상판매점의 10% 정도가 양성화된다. 제각각으로 흉물스럽게 늘어선 노점의 모양은 깔끔하고 예쁜 디자인으로 바뀐다. 서울시는 25개 구별로

    중앙일보

    2007.08.09 04:53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45) 역사적 위인, 캐릭터 상은 부적절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45) 역사적 위인, 캐릭터 상은 부적절

    캐릭터는 사물이나 개인의 특성, 혹은 그것을 나타내는 기호를 뜻합니다. 사람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상징물을 고안하고 생산하는 것을 캐릭터 산업이라 합니다. 하나의 캐릭터를

    중앙일보

    2007.08.03 05:02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44) 시설물 주변 바닥이 도시의 수준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44) 시설물 주변 바닥이 도시의 수준

    거리와 공공장소에는 가로등.우체통.공중전화.안내 사인 등 수많은 시설물이 서 있습니다. 그러나 시설물이 보도에 깨끗하게 접합돼 있지 않아 쉽게 오염되고 보행을 방해하는 등 도시 환

    중앙일보

    2007.07.27 04:17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43) 신호등 위치가 곧 시민의 안전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43) 신호등 위치가 곧 시민의 안전

    지난 수년간 한국의 교통사고 건수는 조금씩 감소하고 있지만, 사망자 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2배나 됩니다. 또 사고가 잦은 지역 교통사고의 85.6%가 교차

    중앙일보

    2007.07.20 04:48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행정현수막 없는 거리'로 첫 결실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행정현수막 없는 거리'로 첫 결실

    서울시가 12일 '행정현수막 없는 서울 선언식'을 열고 서울시청 앞 도로에 설치돼 있던 시정 홍보 선전탑을 크레인을 이용해 철거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범적으로 모든 행정현수막을 철

    중앙일보

    2007.07.13 04:23

  • 여닫이형 덮개, 자갈 보호막 … 숨통 튼 가로수

    여닫이형 덮개, 자갈 보호막 … 숨통 튼 가로수

    가로수는 시민들에게 그늘을 제공하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게 하며, 대기오염을 줄이고 소음을 완화합니다. 비좁은 보행 공간에서 부딪치고, 공해에 시달리는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중앙일보

    2007.07.07 04:37

  • 열차 좌석, 앞뒤 넓고 스피커 조용해야 편안

    열차 좌석, 앞뒤 넓고 스피커 조용해야 편안

    공공시설의 설계에는 늘 사용자 중심 디자인 개념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사용자들이 별다른 학습이 없더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자동차.기차와 같

    중앙일보

    2007.06.29 04:39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40) 자전거 타기 편한 길 걷기도 편해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40) 자전거 타기 편한 길 걷기도 편해

    도시마다 만성적인 교통 정체, 소음, 대기오염 등의 공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자동차 중심의 도시 환경이 초래하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코자 친환경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이 장려되고

    중앙일보

    2007.06.22 04:41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39) 거리 예술공연, 관객이 디자인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39) 거리 예술공연, 관객이 디자인

    거리나 광장의 예술공연은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나라 도시들도 시민의 문화 향수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활성화를 위해 공공장소의 예술공연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중앙일보

    2007.06.09 04:49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38) 교통신호제어기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38) 교통신호제어기

    거리는 수많은 기반 시설로 복잡합니다. 선진 도시는 시원하게 열린 가로 환경을 위해 가능한 한 시설들을 지하에 매설합니다. 그러나 경찰이나 요원이 직접 조작 관리해야 하는 기기들

    중앙일보

    2007.05.31 04:30

  • 도시 무대서 펼쳐진 '물의 예술'

    도시 무대서 펼쳐진 '물의 예술'

    사람들은 물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도시마다 여러 형태로 물을 도입하여 '친수(親水) 공간'을 조성합니다. 도시 환경에서 물을 접하게 하는 가장 흔한 방식은 분수입니다. 물은 주어

    중앙일보

    2007.05.19 04:34

  • 지방도시들 "디자인 입히자"

    지방도시들 "디자인 입히자"

    포항 북부해수욕장에 설치될 바다시청 조감도. 철강도시 포항의 이미지를 살려 철강재료를 사용하고 배를 형상화했다.[포항시 제공] 포항시는 연말까지 북부해수욕장에 건립할 바다시청 건물

    중앙일보

    2007.05.15 04:45

  • 눈에 확 띄게 … 나라마다 '색 다른' 소화전

    눈에 확 띄게 … 나라마다 '색 다른' 소화전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은 색-형태-질감 순으로 사물을 인식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위험한 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키 위해 색채를 활용했습니다. 특히 공공 공간에서는 안전과

    중앙일보

    2007.05.10 04:27

  • 파주, 도시 미관 깨끗하게 바꾸기로

    깨끗한 거리 만들기를 위해 경기도 파주시와 홍익대가 손을 잡았다. 파주시(시장 유화선)와 홍익대(총장 권명광)는 30일 파주시청에서 '도시 시각물 디자인 개발 및 적용 사업'을 위

    중앙일보

    2007.05.01 04:57

  • 건물주만의 땅 … 보행자를 위한 길

    건물주만의 땅 … 보행자를 위한 길

    도심 가로를 걷다 보면 여러 가지 포장된 길을 만납니다. 포장 재료도 다르고 형식도 다릅니다. 특히 건물의 전면공지(前面空地.건물과 보도 사이의 공간)는 보도와 포장 방식이 달라

    중앙일보

    2007.04.28 04:54

  • 중앙일보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서울시서 채택

    중앙일보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서울시서 채택

    서울이 건축물과 간판 등의 디자인이 정비된 품격 있는 도시로 변신하기 위한 시동을 걸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3일 "서울을 세계적인 고품격 디자인 도시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부시

    중앙일보

    2007.04.24 04:43

  • 채우는 도시, 비우는 도시

    채우는 도시, 비우는 도시

    도시의 무질서는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는 좁은 시각에서 비롯됩니다. 전체적인 관점을 잃어버린 채, 불필요한 시설물들이 세워지고 누적돼 끝없이 채워나가는 곳이 되었습니다. 이

    중앙일보

    2007.04.21 04:29

  • 계단, 좁은 입구 … 2% 부족한 서울 화장실

    계단, 좁은 입구 … 2% 부족한 서울 화장실

    지난 수년간 여러 도시가 공중화장실 개선사업을 해왔습니다. 또 오가는 사람에 비해 화장실이 부족한 도심 지역에는 무인자동화장실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이 시설은 동전을 넣으면 출입

    중앙일보

    2007.04.13 04:23

  • 도심 속 봄, 화분에도 예술적 감각을

    도심 속 봄, 화분에도 예술적 감각을

    꽃샘추위와 황사 현상 속에서도 봄이 왔습니다. 그러나 인공물로 가득 찬 도시에서 자연의 변화를 느끼기는 쉽지 않습니다. 많은 도시가 자연물의 도입으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생태

    중앙일보

    2007.04.06 04:30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30) 브라질 대합실형 정류장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30) 브라질 대합실형 정류장

    도심의 출퇴근 시간은 늘 혼잡합니다. 특히 버스정류장 주변은 더합니다. 보도에서는 행인과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이 부딪치고, 갓길에 주정차하려는 차량과 버스가 엉키는 일도 벌어집니

    중앙일보

    2007.03.23 05:03

  • 문화재 안내판은 품격 갖춰야

    문화재 안내판은 품격 갖춰야

    우리나라에 산재해 있는 유적지에는 문화재 정보를 알리는 안내판(사진●1)이 설치돼 있습니다. 그러나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으로 유적지 풍경을 해치는 경우가 많

    중앙일보

    2007.03.17 04:38

  • [월요인터뷰] "쾌적한 삶의 공간 만드는 게 바로 국가경쟁력"

    [월요인터뷰] "쾌적한 삶의 공간 만드는 게 바로 국가경쟁력"

    만난 사람 = 김종혁 사회부문 부에디터 한국의 대도시에는 폭력이 가득하다. 건물들마다 덕지덕지 나붙어 아우성치는 조잡한 간판들, 야비하고 거친 내용의 플래카드, 현기증 나게 알록달

    중앙일보

    2007.03.11 20:52

  • 신선·깔끔 … 화폭이 된 가림벽

    신선·깔끔 … 화폭이 된 가림벽

    건설현장 주변은 흔히 자재와 장비들로 어지럽게 마련입니다. 여기에 분진과 소음까지 있어 옆을 지나는 시민을 불편하게 합니다. 그래서 인도와 공사장 사이에는 '공사가림벽'을 세워 시

    중앙일보

    2007.03.10 0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