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살파먹는 박테리아?/증상­치료­주의점/전문의 진단

    「살을 갉아먹는」 박테리아로 온통 난리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질병을 인체주변에 흔한 용혈성 연쇄상 구균에 의해 드물게 생기는 괴사성 근막염으로 추정,이 병은 신종 질병이 아니고

    중앙일보

    1994.05.27 00:00

  • 노이결핵 "여전히 무서운 병" &10대 사인중 8위 차지|65세이상 6.1%가 치료대상 환자3주이상기침·가래 계속땐 의심

    24일은 결핵의 날. 과거의 결핵왕국 우리나라는 이제 결핵에 안심해도 좋을 안전지대일까. 유감스럽게도 아직 전국에 70여만명의 결핵환자가 있으며 연간 5천5백명정도가 결핵으로 사망

    중앙일보

    1993.03.24 00:00

  • 뇌막염|뇌성마비 등 후유증 심각… 조기치료 중요|손영모 박사

    5세 된 딸을 가진 가정주부다. 딸이 뇌막염으로 3개월간의 장기입원 끝에 1주일 전 퇴원했다. 입원기간 중 경련을 일으키는 등 증세가 심했고 원인 균을 찾지 못해 치료가 힘들었다

    중앙일보

    1992.11.25 00:00

  • 암-유전자 변화 막아야 완치|미 국립 암 연구소 발병 원인 규명

    미국이 「암과의 전쟁」을 선언한지 20년이 지났다. 닉슨 대통령은 지난 71년12월 『인간을 달에 보내는 꿈이 실현됐듯이 불치의 병으로 인식된 암도 집중적인 재정 지원과 연구를 한

    중앙일보

    1992.01.12 00:00

  • 홍역 예방접종시기 앞당겨야|대한소아과학회 감염분과위 주장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홍역예방접종의 시기와 횟수, 백신의 종류 등이 수정돼야 한다는 의견이 의학계 내에서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대한소아과학회 감염분과위원회는 7월초 개

    중앙일보

    1991.06.18 00:00

  • 진료 과목 헷갈리는 질환 많다

    병원을 찾는 환자들 중엔 자신이 어느 과에서 진료 받아야 할지 모를 때가 종종 있다. 또 종합병원의 응급실에 입원한 중환자들의 경우 각 전문의들이 자기 전문의 질병이 아니라고 기피

    중앙일보

    1991.05.23 00:00

  • 결핵|이형구

    피로는 특별한 질환 없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보통은 만성, 혹은 소모성 질환에 감염됐을 때 나타나므로 원인질환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이 같은 질환의 대표적인 것이 폐결핵이다. 김

    중앙일보

    1991.03.21 00:00

  • (104)소변 색깔|윤방부

    우리 동양계 사람들은 건강을 말할 때 얼굴색·소변색·대변색 등으로 색깔 따지기를 좋아한다. 여기에서는 소변색깔을 잠시 적어보고자 한다. 정상적으로 소변은 여러 색소체에 의해 연한

    중앙일보

    1990.12.06 00:00

  • (31)호흡기질환

    호흡기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가장 민감한 장기다. 기온이 오르고 내림, 또는 공기의 혼탁 도와 습도에 따라 바로 영향을 받는 것이 목·기관지·폐 등이다. 겨울철이 되면 흔히 증세가

    중앙일보

    1990.11.13 00:00

  • 늘어나는 폐질환 담배가 "주범"|위험인자와 예방대책

    만성기관지염·폐기종·기관지천식 등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산업화에 따르는 공기오염과 흡연 등으로 국내에서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폐결핵의 발생이 많이 줄어든 반면 이들 질환이 전세계

    중앙일보

    1990.05.31 00:00

  • 홍역접종땐 결핵반응 검사를

    봄은 어린이들에게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때. 서울중앙병원 홍창의박사(소아과)는 최근 보사부가 발행한 『보건주보』를 통해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홍박사는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중앙일보

    1990.04.10 00:00

  • 결핵 잘못된 치료가 사망률 높여

    결핵을「잊혀진 질병」정도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으나 아직도 결핵은 우리나라 사람의 주요사망원인이 되는 등 심각한 질병으로 남아 있다. 우리나라 결핵사망률은87년 조사에서 10만명당

    중앙일보

    1990.03.27 00:00

  • 땀 많이 흘리면 어딘가 "이상"|여름철 발한… 상식의 허실|사우나는 체중조절효과 적어|여름엔 염분섭취량 늘려야 균형유지

    여름철은 땀을 유난히 많이 흘리는 계절이다. 땀은 체온조절을 위해 흘리는 경우가 있는가하면 건강에 이상이 생겼을 때, 흥분했을 때에도 나오기때문에 발한 현상의 원인을 알아 적절히

    중앙일보

    1988.07.14 00:00

  • 신장염

    신장염은 전회에서 실명한 증상들이 있을때 일단 이를 의심할수 있으나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진찰과 검사가 필요하다. 즉 소변의 색깔이 붉거나 얼굴이 붓는듯한 증상이 있다고

    중앙일보

    1988.03.25 00:00

  • 증세

    WHO가 밝힌 AIDS의 증상을 보면 먼저 다음과같은 1차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돼있다. 즉 ▲임파선이 붓고 아픈 상태가 3개월이상 지속되고 ▲미열이 수주간 또는 수개월간 지속되며

    중앙일보

    1987.08.06 00:00

  • 병원은 영상검사 무엇을 알기위해 하나|모든검사기본…흉부·뼈질환 포착 X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요즘에는 정기적으로, 혹은 몸이 약간 이상하다 싶으면 병원을 찾는 이들이 늘어났다. 병원에 가면 우선적으로 혈액검사를 하는 외에 X선검사, 때에 따라

    중앙일보

    1987.07.24 00:00

  • 정체드러낸 "족집게"15년

    현대인들의 건강관리 붐을 악용한 사기사건이 일어났다. 71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설립된 정건강관리연구소는 연구소란 독특한 이름때문에 의료법상 규제된 병원광고금지 대상에서 제외돼 마

    중앙일보

    1986.06.20 00:00

  • (11) 새환자 년18만명 발생|폐결핵 "한물간 병"이 아니다

    후진국병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결핵이 우리나라 사망순위 6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선두중진국을 자처하는 우리로서 매우 부끄러운 일이 아닐수 없다. 대한 결핵협회가 5년마다 실시

    중앙일보

    1986.03.25 00:00

  • (522) 뇌종양

    머리가 지끈지끈 쑤시고 메시꺼우며, 간혹 토하기라도 하면 혹시 뇌종양이 아니냐고 불안해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다. 뇌는 딱딱한 두개골안에 싸여있어 뇌종양등으로 부피가 늘어나는 경

    중앙일보

    1985.07.16 00:00

  • 국내 나환자는 모두5만명

    우리나라의 나환자는 5만명으로 이중 2만6천4백70명만이 시·군 보건소에 등록을 했고 나머지는 자기병을 모르거나 알고 있더라도 숨기고 있는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금까지 등

    중앙일보

    1985.01.29 00:00

  • (393)성인병-윤방부

    피가 나오지 않을 곳에서 피가 나온다는 현상은 의학적으로 심각한 증세의 하나로 본다. 특히 비뇨기계통의 출혈은 가볍게 넘겨서는 안될 증상의 하나다.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은

    중앙일보

    1983.11.30 00:00

  • (345) 출혈과 암

    지난회에도 자세히 설명했지만 암의 조기진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만큼 중요하다 몸의 어느 부위에서든 외상없이 출혈이 있으면 일단은 전문가와 의논해 보아야 한다. 예를 들

    중앙일보

    1983.06.04 00:00

  • 혈액질환

    인체의 모든 조직에는 혈관과신경만이 아니라 임파선도 분포되어있다. 이러한 임파조직안에는 임파구라는 세포가있어 인체 외부로부터의 병균과같은 해로운 물질이 침입했울때 이들과 싸워서 처

    중앙일보

    1983.04.27 00:00

  • 소아병에 대한 무지

    생후 1개월에서 1세미만의 우리나라 어린이 가운데 소아마비, 디프테리아, 홍역 및 기생충질환은 크게 감소하고 있으나 결핵, 백일해, 간염 등 질환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

    중앙일보

    1982.09.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