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윈도 98에서 듀얼 모니터 사용하기-2

중앙일보

입력

듀얼 모니터 기능, 이것만은 명심하자!

윈도 98의 듀얼 모니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까다로운 조건들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1.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와 장치 드라이버를 사용하라.

모든 그래픽 카드가 듀얼 모니터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출시된 그래픽 카드들은 기본으로 이 기능을 지원하지만, 구형 PCI 그래픽 카드의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는 제품도 상당수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같은 칩셋을 사용했더라도 제조사에 따라 정상적으로 지원하는 제품도 있고 그렇지 못한 제품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장치 드라이버의 버전에 따라 듀얼 모니터 지원 유무가 결정되는 제품도 있으므로, 되도록 최신 드라이버를 사용하도록 한다.

듀얼 모니터 기능을 지원하는 PCI 그래픽 칩셋

ATI

매치 64, 그래픽스 프로 터보, 레이지 Ⅰ, Ⅱ, 레이지 프로

S3

트리오64, 64V+, 버지 DX, VX, GX

챙랩스

ET6000

시러스로직

5436, 5446

매트록스

밀레니엄, 미스틱

이외에도 각 그래픽 카드 제조사가 호환성을 보장하는 모델들이 많이 있으므로 잘 확인하도록 한다. 어쨌든 제품의 궁합 문제는 많은 변수가 있어 직접 자신의 시스템에 그래픽 카드를 꼽아보기 전에는 섣부른 장담을 하기 어렵다.

2. 그래픽 카드의 IRQ를 확보하라.

대부분의 장치가 그렇듯이 그래픽 카드도 시스템 자원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최근의 시스템에는 랜 카드, TV수신카드, SCSI 카드 등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현실. 자칫하면 여분의 자원이 없어 필요한 장치를 덧붙여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대표적으로 IRQ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만일 설치 과정에서 원일 모를 트러블을 겪게 된다면 현재의 시스템 자원 상황을 파악해 보길 바란다.


3. 메인보드의 바이오스를 점검하라.

AGP 방식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PCI 방식의 그래픽 카드를 추가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일부 사용자들은 나중에 추가한 PCI 그래픽 카드가 주 디스플레이 어댑터로 설정되는 증상을 종종 호소하곤 한다. 사실 이러한 문제는 바이오스 설정 내용을 바꾸는 것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즉, 바이오스의 ''Integrated Peripherals'' 항목에서 ''Init Display First'' 부분을 PCI가 아닌 AGP로 재설정하면, AGP 방식의 그래픽 카드를 주 디스플레이 어댑터로 사용할 수 있다(어워드 바이오스의 경우).
하지만 초창기 LX 메인보드 중에는 바이오스에 이와 같은 항목이 없는 제품이 상당수 있다. 이 경우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바이오스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이러한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는 방법이다.

하나의 그래픽 카드로 두 대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단 하나의 그래픽 카드로 두 대의 모니터에 각기 다른 그래픽을 출력할 수 있다면 어떨까? 만일 그렇다면 골치 아픈 하드웨어 트러블 등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매트록스사의 밀레니엄 G400 그래픽 카드는 이러한 점에 착안, 아이디어 넘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G400은 일반 그래픽 카드와 동일한 방식의 싱글 헤드(Single Head) 방식과, 앞서 말한 독특한 기능의 듀얼 헤드(Dual Head) 방식의 두 가지 제품군을 가지고 있다.


특히 듀얼 헤드 제품은 하나의 그래픽 카드에 모니터 커넥터가 두 개 달려 있으며, 하나의 그래픽 칩셋에서 별도의 두 개의 그래픽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해 두 대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또한 TV와 모니터 출력을 동시에 각기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부분 확대 출력, 듀얼 헤드 전용 게임 지원 등 쓰임새가 많다 .

이 제품은 현재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판매 중이며, 국내에서도 조만간 출시될 예정이다. 단순한 두 개의 화면 출력에서 더 확장된 기능의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라면 충분히 고려할 만한 방법이다.

G400.JPG) 밀레니엄 G400 MAX 리테일 패키지 제품

차후 출시될 듀얼 헤드 전용 게임은 두 대의 모니터를 십분 활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것이다. 특히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이라면, 하나의 모니터에는 조종간의 모습을, 다른 하나에는 외부 전경을 표현해 실재감을 높일 것이다.


자료제공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