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능 가채점 한 뒤 합격 가능한 10곳 지원 시나리오 짜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수능시험이 끝났다. 하지만 갈 길이 멀다. 수능시험 성적이 통지되는 날(28일)부터 본격적인 입시경쟁이 시작된다. 그 때까지 자신의 입시자료(학교생활기록부·수능시험성적·논술고사실력)의 장단점을 분석해 전략을 짜야 한다. 올해 입시에선 정시모집 규모가 줄어 남은 수시 지원 기회를 적극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입시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최저학력 충족과 영역별 비교우위 검토를

지난해 대전 서일여고 3학년 학생들이 수능시험을 치른 뒤 배치표를 보면서 지원 가능한 대학과 학과의 범위를 비교하고 있다. [중앙포토]

수능시험 채점이 우선이다. 가채점 결과로 남은 전형들에 대한 지원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정시모집에 지원하기 어려운 성적이면 논술고사·적성고사·학생부 등 남은 수시 전형에 집중해야 한다. 수시에 합격하면 정시에 지원할 수 없으므로 신중해야 한다.

유성룡 1318대학진학연구소장은 “수능점수가 수시에서 요구하는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는지부터 판단하라”고 말했다. 그에 따라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는 자신의 강점을 파악해 수시·정시에 대한 지원방향을 가늠할 것”을 조언했다.

수능 성적이 정시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모의지원 포트폴리오를 짠다. 모집 요강에 따라 모집인원·반영영역·반영비율·가산점 등을 적용해본다. 이에 맞춰 지원할 10여 개 대학·학과 간 비교우위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서울 문일고 김혜남 교사는 “남은 수시에서 학생부로 갈 수 있는 전형은 이화여대밖에 없다”며 “특히 수능 성적이 저조한 중하위권 수험생이라면 수시 2차(12~16일 원서 접수)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선발 대학 중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대학을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적성검사는 합격선이 높게 형성되는 편이므로 눈높이를 낮춰 지원하라”고 권했다.

온라인 모의지원 현황으로 추이 파악

올해는 수시모집 비중이 늘어나 정시모집 규모가 지난해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입시경쟁이 심화되면 변수와 합격선 변동이 많아져 경쟁구도를 예측하기 어려워진다.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 오종운 평가이사는 “정시 지원이 불투명하고 수능 성적이 중위권 수험생일수록 남은 수시 지원 기회(최대 6회 제한)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가채점 온라인 모의지원 현황을 보고 어떤 점수대의 수험생들이 어디로 몰리는지 추이 파악”을 주문했다.

종로학원 입시전략연구소 김명찬 평가이사는 “종이 배치표보다 영역별 반영비율을 산출해주는 온라인 배치표를 이용해 지원할 대학·학과의 범주를 정하라”고 권했다. 이와 함께 “올해도 하향 안정지원 경향이 예상되므로 자신의 점수보다 2점 더 여유를 갖고 지원 수위를 가늠할 것”을 당부했다.

지난해 입시 결과 참고하며 유·불리 따져야

올해는 정시에 지원할 때 지난해 입시 상황을 점검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수능시험이 쉽게 출제되는 상황에서 내년부터 수능시험 제도와 교육과정 내용의 변경이 예고된 상태인데다 경제 불황까지 맞물려 재수를 기피하는 현상이 짙어졌다. 이에 따라 하향안정으로 지원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지난해 일부 대학들의 인기학과에서 미달사태가 벌어진 이유도 그 때문이다. 입시전문가들은 이런 경향이 올해도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유웨이중앙교육 이만기 평가이사는 “올해도 하향지원 욕구가 강해 지원 적정선을 찾기가 힘들다”고 전망했다. “상위권 수험생의 움직임에 따라 성적순으로 연쇄반응이 일어나므로 중위권 수험생은 고득점 학생들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잘 살펴볼 것”을 강조했다. 비타에듀고려학력평가연구소 유병화 평가이사도 “상위·중위권 점수대가 두터워져 지난해처럼 합격선이 들쭉날쭉해지면 강점이 있는 영역별로 조합하는 지원전략보다 입시정보가 힘을 발휘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입시의 경쟁률·경쟁구도 등을 참고하면서 보험성격의 안정권을 확보한 뒤 상향지원을 검토할 것”을 당부했다. 중앙학원 김영일 원장은 “학생부 성적이 저조해도 올해 입시에선 남은 수시 기회를 적극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입시분석기관들의 자료를 비교하며 정시에서 지원 가능한 대학부터 정리한 뒤 남은 수시 지원의 유·불리를 판단할 것”을 당부했다.

박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