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기고

GCF 유치에 걸맞은 에너지 정책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1면

최근 인천 송도가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했다. GCF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금을 조달·집행하는 환경 분야의 세계은행이다. GCF의 성공을 위해서도 한국은 지구환경 보전과 기후변화 분야에서 선도적이고 솔선수범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특히 차기 대통령은 집권 직후인 2013년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수정 시 GCF 유치에 걸맞은 친환경 에너지정책을 마련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

  이명박 정부는 집권 직후인 2008년의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현재 그 비중은 이전과 비슷한 2%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게 하려면 확실한 대안을 찾아야 한다. 당분간 천연가스 발전의 확대와 함께 궁극적으로는 선진국이 추진하고 있는 지속가능하고 청정한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최근 설치비용이 크게 하락해 몇 년 안에 화석연료 발전단가와 비슷해질 것으로 보이는 태양광발전이 그중 하나다. 한국의 건물 지붕 절반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한다면 196GW 용량의 시설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산하는 전기량은 1GW급 원전 32기의 전기 생산량에 해당한다. 이는 한국이 향후 추가 건설계획 중인 원전 4기를 포함한 32기 원전 전체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다.

 화석연료 발전단가와 비슷한 수준인 풍력발전기를 한국의 육상·해상에 15GW 용량을 설치하면 1GW급 원전 4기가 생산하는 전기량과 맞먹는다. 결과적으로 태양광과 풍력발전으로 원전을 대체하고도 남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말이다.

 국가 에너지정책 방향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지속가능한 에너지 자원 확보와 안전이다. 차기 대통령은 집권 뒤 GCF 유치에 걸맞은 미래형 에너지정책을 내놔야 한다.

양오봉 전북대 화학공학부 교수·태양에너지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