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로봇수술 남용 바로잡겠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보건복지부가 올해 말까지 로봇수술 안전성과 관련한 실태조사를 마치고 로봇수술이 가능한 질환을 축소 해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원주 의원(민주통합당)은 복지부가 제출한 로봇수술 조사 실태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계획했다고 밝혔다.

이언주 의원은 앞서 국감에서 로봇수술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실태조사를 촉구했다. 복지부는 현재 로봇수술을 시행하는 전국 30개 병원의 환자 정보와 수술건수, 환자상병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로봇수술 전후 환자의 합병증과 사망률, 부작용 사례 등을 수집하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 9월 말, 대한의사협회와 대한병원협회에 자료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사 인력은 총 24명으로 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직원이다. 이와함께 통계 전문가 등 10여명의 자문단이 병원의 진료기록을 분석한다.

복지부는 조사결과를 곧바로 국회에 보고하고, 로봇수술을 실시하는 질환을 축소해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단 계획이다.

이언주 의원은 "로봇수술이 비급여다보니 최대 2000만원에 이르는 경우도 있는데 그 비용은 고스란히 환자의 몫"이라며 "비용대비 효과가 낮다는 지적이 있고 의료계 내부에서도 묹데가 제기되는만큼 복지부가 객관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로봇수술 장비는 세계 5위 보유 규모이며 인구 100만명 당으로 따지면 세계 3위다. 현재 전국 30개 병원에서 36대가 사용중이다. 신촌세브란스가 4대, 강남세브란스가 1대, 서울대병원이 2대, 아산병원이 2대를 보유하고 있다. 수술 건수는 지난 2005년 24건을 시작으로 2010년엔 1만4274건까지 급증했다.

[인기기사]

·의약품 리베이트 처벌은 말로만? [2012/10/23] 
·한미약품, 유소아해열제 '맥시부펜' 약국용 출시 [2012/10/23] 
·대웅제약, 난치성 상처치료藥으로 글로벌 진출 활발 [2012/10/23] 
·동아제약도 지주회사 체계 전환 [2012/10/23] 
·과식하면 왜 당뇨병에 걸리는지 아세요? [2012/10/23]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