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뒤질 수 없다" 지자체들 경쟁

중앙일보

입력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충남도는 올해부터 ''디지털 충남'' 운동을 벌이고 있다. 도내 공공시설을 이용해 ''디지털방'' 을 개설하고 연내 전 주민에게 e-메일 주소를 부여한다는 목표다.

전주시는 게임.소프트웨어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통신의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를 유치했다.

지난 4월 전주시 서신동에 마련된 전주정보통신센터는 연건평 1만여평에 지하3층 지상15층 규모. 1백대 이상의 서버를 설치할 수 있는 ''인터넷 서버호텔'' IDC 외에 인터넷 테마파크 등이 갖춰져 있다.

강원도는 강원도내 18개 시.군과 공동으로 도민들의 e-메일 주소갖기 붐을 조성하기 위해 매달 사이버 퀴즈대회를 열고 있다.

강원도와 시.군의 e-메일을 갖고 있는 강원도민이어야 응모가 가능하며 e-메일이 없으면 즉석에서 신청, 가입할 수도 있다.

한편 정보통신부는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농어촌 지역에 무료 인터넷 이용시설을 속속 개설하고 있다.

지난달엔 지방에서 무료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기존의 63곳에서 2백13곳으로 확대됐다.

인터넷을 공짜로 배우고 무료로 쓸 수 있는 인터넷 플라자와 정보화 교육장도 분기별로 20~30곳씩 전국 우체국에 만들어지고 있다. 우체국 직원 중 컴퓨터를 잘 다루는 사람이 농.어민 등 신청하는 지역주민에게 직접 교육을 시켜주기도 한다.

정통부는 앞으로도 연간 1백50곳의 무료인터넷 이용시설을 농어촌 지역에 만들 계획이어서 지방의 무료인터넷 시설은 오는 2003년 5백여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