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국감, 대선 후보 때리기 경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9일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선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상대편 대통령 후보들을 겨냥해 난타전을 벌였다.

 민주당을 탈당해 안철수 캠프로 옮긴 무소속 송호창 의원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조카사위인 박영우 대유신소재 회장이 “대유신소재 주식을 단기간에 싸게 사고 비싸게 팔았다”며 “금감원이 단기매매 차익 사실을 확인했음에도 증권선물위원회에 보고하지 않는 등 법 규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정연수 금감원 부원장보는 “박 회장의 단기매매 차익 등 기본적인 사실이 확인됐다. 다른 행위도 조사 중”이라고 답했다.

 김기준 의원 등 민주당 의원들은 스마트저축은행이 박 회장 소유의 사무실을 지난해 7월 수십억원의 손실을 무릅쓰고 시세보다 비싼 가격으로 2년 임대 계약을 맺었다고 지적했다. 권혁세 금감원장은 “일단 정상적인 계약으로 보이지만 구체적인 계약 내용을 따져봐야 안다”고 했다.

 새누리당 박민식 의원은 증인으로 나온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이자 법무법인 부산의 정재성 대표변호사에게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외환카드, 기업은행 부실채권 매수 재판과 관련해 59억여원을 받고 사건을 수임한 경위를 캐물었다. 법무법인 부산은 문재인 후보가 대표변호사로 일했던 곳이다. 정 변호사는 “지역의 다른 법무법인에서 수임을 제의해 이뤄진 것”이라며 “각 사건당 10만원 정도밖에 안 되는 소액이었는데 관련 사건이 4년간 2만여 건 정도 모여 수임 액수가 늘어난 것”이라고 해명했다.

 같은 당 조원진 의원도 “문 후보가 민정수석이던 2003년 저축은행 비리조사를 담당했던 유병태 전 금감원 비은행검사국장에게 전화를 걸어 ‘신중히 처리해 달라’고 부탁했는데, 이게 압력이 아니고 무엇이냐”고 추궁했다. 권 원장은 난감한 표정으로 별다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새누리당 김용태 의원은 “안랩이 과거 총 25억원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했고 이를 제3자 인수 방식으로 안철수 후보에게 몰아줬다”며 “그 후 채 한 달도 안 돼 2.7배 무상증자를 하고 약 4개월 뒤 10분의 1로 액면분할을 하면서 코스닥에 상장했는데 안 후보가 코스닥 상장을 겨냥해 주식 숫자 늘리기에 나선 것 아니냐”고 했다. 안 후보의 의혹에 대해선 야당 의원들도 별다른 방어를 해 주지 않았다.

손국희 기자 <9ke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