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현 상고심 27일 선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곽노현

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후보자를 매수한 혐의로 기소된 곽노현(58) 서울시교육감에 대한 상고심 선고가 27일 내려진다. 이는 지난 4월 항소심 선고 이후 160여 일 만으로, 선거법상 선고기한(3개월)을 70여 일이나 넘긴 것이다. 대법원2부(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27일 오전 10시 대법원 1호 법정에서 곽 교육감에 대한 상고심 선고공판을 연다”고 18일 밝혔다.

 곽 교육감은 2010년 6·2 지방선거와 함께 열린 서울시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같은 진보진영 경쟁 후보였던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에게 후보 사퇴의 대가를 약속하고 당선되자 2억원을 건넨 혐의(사후매수)로 기소됐다.

 지난 1월 열린 1심 재판에서 곽 교육감은 벌금 3000만원을 선고받았지만 4월 항소심에서는 징역 1년의 실형이 선고됐다.

 대법원이 원심을 확정하면 곽 교육감은 선거법 규정(징역 또는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 확정 시 당선 무효)에 따라 교육감 직을 잃는다. 지난해 추석 연휴 첫날 새벽 구속 수감됐던 곽 교육감은 1년 만인 올해 추석을 앞두고 다시 기로에 서게 됐다.

 이번 상고심 선고가 늦어진 건 지난 6월 김병화 대법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사상 처음으로 낙마하면서 대법관 공백 사태가 22일 동안 이어진 데다 곽 교육감이 “공직선거법의 후보매수죄 조항이 헌법에 어긋난다”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내면서였다.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라 대선(12월 19일) 한 달 전(11월 19일)에 대법원 확정판결이 나오면 교육감 재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함께 치러진다. 한국교총은 “대법원의 확정 판결이 나오면 지난해 9월 이후 1년간 혼란스러웠던 교육계가 안정을 되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반겼다.

 대법원의 상고심 판결이 나와도 헌재가 어떤 결론을 내리느냐에 따라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 헌재가 ‘사후매수죄’ 조항을 위헌으로 판단하면 곽 교육감은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이동현·이유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