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뛰고 전세 부족 … 세종시 투기단속반 80명 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세종시(옛 연기군)의 땅값 상승률은 3월 이후 5개월 연속 전국 1위를 기록 중이다. 7월에는 0.68%로 올 들어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조만간 발표할 8월 땅값도 세종시와 인근 지역 땅값이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기관의 세종시 이전이 14일부터 본격화함에 따라 전세 수요도 급증했다. 올해 말까지 총리실과 기획재정부·공정거래위원회·농림수산식품부·국토해양부·환경부가 차례로 이동해 공무원 4139가구가 이삿짐을 꾸려야 한다. 그러나 세종시 첫마을 아파트는 955가구에 불과하고 가장 빨리 준공하는 아파트 입주 시기는 내년 8월이다.

 이렇다 보니 ‘세종시 대이동’에 따른 전세난이 세종시 인근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아산·천안·청주시 아파트 전셋값이 올 들어 거의 한 달도 빠지지 않고 올랐다. 7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보를 이어왔던 대전시마저 비수기인 8월 0.07% 올라 상승세로 돌아섰다. 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8월과 비교해 아산시는 17.6%, 천안시 16.6%, 청원군 15%, 청주시 12.7%, 연기군 11.4% 순으로 전셋값이 많이 올랐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전세가 변동률은 6.2%였다.

 청원군 O공인 관계자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전세가 1억2000만원 정도였던 오송호반베르디움 전용면적 85㎡가 1억4000만~1억5000만원으로 부쩍 올랐다”면서 “물건이 부족해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부가 결국 대대적인 부동산 투기 단속에 착수했다. 국토해양부는 총리실 이전을 하루 앞둔 지난 13일 세종시 전역에 정부·경찰·지자체 등이 합세한 정부 합동 투기단속반을 투입해 불법 행위 등을 조사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이번 단속에는 국토부·국세청·충남지방경찰청·세종시·공인중개사협회 등 5개 기관에서 총 80여 명이 24개조로 나눠 투입됐다.

 단속반은 이날 세종시 현지 중개업소를 불시 방문해 거래 장부와 계약서 등을 보며 실거래가 거짓 신고와 매매 이중계약서 작성, 무자격자 중개행위, 자격증 대여 등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 세종시에 대규모 정부 합동단속반이 투입된 것은 지난 2월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다. 당시 청약통장 매매, 전매제한기간 중 분양권 전매, 불법 전매 알선중개를 한 217명을 주택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중개업자 2명을 구속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세종시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합동 단속반을 추가 투입할 것”이라며 “세종시 이전을 앞두고 ‘한탕’을 노린 위법행위와 부동산 투기 근절에 대해 엄중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