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포 세마리 - Leadtek GeForce 3 TD [2]

중앙일보

입력

GeForce 3란 무엇인가?

GeForce 3 리뷰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당연히 GeForce 3가 뭔지 알 필요가 있다. 도로 표지판을 읽을 줄 모르면서 도로에 차를 몰고 나갈수는 없지 않은가? pcBee에서는 지난 ELSA GeForce 3의 리뷰 때 GeForce 3의 기능적인 소개를 자세히 하였지만 이 리뷰를 읽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매우 간략히 중요한 특징만을 설명하고 넘어가려고 한다.

GeForce 3는 nVidia에서 만든 3번째 GPU 이다. 1세대 GPU인 GeForce 256에서 기술적인 우위를 보여 주었고 2세대 GPU인 GeForce 2에서 GPU 사용자의 저변을 넓혔다고 한다면 GeForce 3로 최종적으로 3D황제(?)의 왕관을 머리에 얹겠다는 전략을 세워 놓은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GeForce 3의 기술적인 특징은 nFiniteFX라 불리는 Vertex Shader, Pixel Shader기술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 두 기술은 DirectX 8의 핵심 기술로 좀더 세밀한 선, 점의 처리가 가능해져 보다 실사에 가까운 화질을 보여주게 된다. 또한 Quincunx AA라는 Anti-Aliasing 기술이 포함된다.(참고로 이것은 2개의 샘플로 4X AA와 비슷한 효과를 주는 기술이다.) 이외에도 메모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포함되어 있어 GeForce 3는 기존의 GeForce 2보다 세밀하고 정교한 영상을 속도 저하 없이 보여줄 수 있게된 것이다. 자세한 기술적인 부분은 기존의 ELSA Gladiac 920의 리뷰에서 나와 있으므로 참고하시길 바란다.

ELSA Gladiac 920 리뷰 보기

박스 및 번들

대만의 Leadtek사는 더 이상 중견 그래픽카드 제조사가 아닌 세계 4대 메이저 그래픽카드 제조사가 되었다. 빠른 제품 출시와 전체적으로 무난한 성능, 적절한 가격을 무기로 하고 있는 업체이다. 이번에 Leadtek에서 새로 출시한 그래픽카드가 WinFast GeForce 3 TD이다.


비싼 카드 치고는 소박한 형태


왜 이걸 보면 Diamond 생각이 나지...

박스 디자인은 일반적인 그래픽카드의 박스 디자인 그대로이다. 특별히 멋있다거나 화려하지는 않다는 뜻인데 최 상위 제품군의 신제품이니 만큼 한번 멋을 부려보아도 좋을 것이지만 큰 관계는 없을 것이다. 굳이 비교를 하자면 화려한 스타를 보는 느낌이라기 보다는 점잖은 신사(?)를 보는 느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그런데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오른쪽 상단에 있는 스펙 표시를 보면 예전의 Diamond Multimedia에서 만들던 그래픽카드가 생각난다. 왜그럴까......)


이제 전파사에 갈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박스를 열면 GeForce 3 카드 한장과 설치 CD, 사용자 설명서 및 Quick Installation Guide, 각종 케이블(?)이 들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에서 각종 케이블이라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크게 3가지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다. S-VHS to S-VHS 케이블, S-VHS to Composite 케이블, Composite to Composite 케이블이 바로 그것이다. TV-Out에 대비한 각종 케이블을 모두 준비해주는 배려를 하고 있다. TV-Out을 하시려는 분들은 따로 전파사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 만세~~~~()


아~~갖구 싶다......

설치 CD에는 설치 드라이버와 함께 Leadtek 고유의 드라이버 확장 기능인 WinFox와 E-Color의 3D 게임 색상 조절 프로그램인 3Deep, 색상 조절 프로그램인 Colorfic, 인터넷 이미지 색상 조절 프로그램인 True Internet Color와 DVD 감상을 위한 WinFastDVD(실제로는 InterVideo WinDVD의 OEM 버전이다.)가 제공된다. WinFox에서는 기존의 nVidia의 Detonator 드라이버가 제공하지 않았던 각종 그래픽카드의 정보 제공 및 오버클러킹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한글을 지원한다.) 3Deep, Colorfic, True Interner Color를 이용하면 모니터에 맞는 최적의 색상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필자는 다른것보다 Colorfic과 3Deep이 가장 탐나는 소프트웨어이다.(그 이유는 화질과 색상을 중요시 하는 사용자들은 대략 알 것이다. 눈의 피로도를 덜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감마 조절 기능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분명히 생기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번들은 이걸로 끝이다. 게임은 안준다. 게임은 직접 구입해서 즐기라는 뜻이다.(번들 게임치고 제대로 된거 별로 못봤지만......)

카드의 레이아웃


카드는 그저 그렇게 생겼다.

WinFast GeForce 3 TD는 사실 일반적인 그래픽카드와 크게 다르게 생기지는 않았다. 몇가지 부분만 빼면. 그 몇가지 부분이 좀 특이하긴 한데 일단 가장 쉽게 눈에 띄는 것은 Leadtek 고유의 커다란 히트싱크와 쿨러이다. 다만 이전 제품들은 전체적으로 금색 도금을 사용하였지만 이번에는 은색(또는 백금색. 필자는 은색과 백금색 구분을 잘 못한다.) 히트싱크를 사용하였다.


쇳! 등어리.......

또한 메모리에도 히트싱크가 달려 있는데 Leadtek의 로고가 새겨진 통자로 된 히트싱크(라기보다는 하나의 쇳덩이) 형태를 띠고 있다. 사용되는 메모리가 4ns, 그것도 DDR SDRAM이기 때문에 히트싱크 없이는 발열량을 처리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모양은 보기 좋지만 표면적은 그리 넓어 보이지 않는데 이걸로 과연 충분할지는......


DVI와 TV-Out까지......종합 선물 세트

이 카드의 이름은 앞에서 WinFast GeForce 3 TD라고 했다. WinFast는 Leadtek의 그래픽카드의 상표이고 GeForce 3는 GeForce 3인데 뒤에 붙은 TD는 도대체 뭐란 말인가? TD는 바로 TV-Out과 DVI를 말하는 것이다. WinFast GeForce 3 TD에는 일반적인 D-Sub 단자 이외에도 두개의 단자가 더 달려 있다. 하나는 S-VHS를 지원하는 TV-Out 단자이고 다른 하나는 DVI 단자이다. 이것으로 WinFast GeForce 3 TD에는 TV와 DVI를 지원하는 LCD 모니터를 모두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게임은 큰 화면에서, 문서 작업은 눈이 편한 LCD 모니터에서 할 수 있게 된 것이다.(물론 후자는 돈이 좀 많이 들것이다.) 그러나 TV-Out은 그렇다 치고 DVI는 솔직히 말해 한국 실정에는 좀 안맞는다 그 비싼(DVI를 지원하는 15"급 TFT-LCD 모니터를 살 돈이면 19"급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인 Eizo나 Totoku등의 완전 평면 모니터를 구입하고도 돈이 남는다.) TFT-LCD 모니터를 구입하여 사용할/사용하는 사용자가 얼마나 될지......


신형의 냄새가 물씬 풍긴다.


공간이 좁아 쫒겨난(?) DVI칩

그러면 이 TV-Out과 DVI를 처리하는 칩은 어떤 것일까? TV-Out을 지원하는 칩은 Conexant(아직도 이 회사가 뭐하는 회사인지 모르시는 분이 있는데 예전에 모뎀 하면 날렸던 Rockwell이 바로 이 회사이다.)의 CX25871-13칩이다. 사실 이 칩은 필자도 처음 보는 모델인데 잠시 알아본 결과 기존에 사용하던 Conexant의 TV Encoder 칩보다 상위 제품인것으로 확인되었다. 1024*768이라는 고해상도(?)를 지원하므로 게임을 보다 정교한 화면에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GeForce 3의 최대 강점인 빠른 게임 속도와 개선된 3D 이미지 처리를 TV에서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하자는 뜻이었을까...... DVI 처리는 Silicon Image의 Sil164CT64칩을 이용하는데 이 칩은 이미 pcBee에서도 여러번 이름이 언급된 칩이니 넘어가도록 하겠다. 특이한것은 이 칩이 기판 뒤에 달려 있다는 점인데 그렇게 공간이 없나......(사실 잘 보면 앞면에는 빈 공간이 별로 없다.)

김준연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