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주춤하자 낡은 아파트값 '뚝뚝'

조인스랜드

입력

[조인스랜드 취재팀기자] 재건축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주춤하자 입주한 지 30년 이상 된 서울의 노후 아파트 매매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서울 아파트 121만9276가구를 입주시기별로 분류해 올해(2012.1.6~9.4) 매매가 추이를 조사한 결과 입주 30년 이상 된 아파트값이 평균 7.29% 떨어져 가장 하락폭이 컸다고 5일 밝혔다.

이어 입주 21~30년 아파트(-5.42%), 입주 10년 이하 아파트(-2.18%), 입주 11~20년 아파트(-1.79%) 순으로 하락했다.

둔촌주공 최고 1억원 내려

동기간 전체 서울 아파트의 평균 하락률은 -3.42%였다. 그간 재건축 기대감으로 아파트가 낡을수록 값이 올랐던 관행이 사라진 셈이다.

입주 30년 이상 된 대표적인 아파트는 강남구 대치동 은마,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1~4단지), 서초구 반포동 한신(1·3차), 송파구 신천동 장미아파트 등이다.

은마아파트 공급면적 112㎡는 연초 10억원을 호가했지만 현재 9억4000만원 선으로 떨어졌고, 둔촌주공1단지 26㎡는 3억9000만원에서 1억원 빠진 2억9000만원 선이다.

부동산경기가 호황을 누렸던 2009년에는 입주 11~20년 된 아파트값이 1.96% 오르는 동안 30년 이상 된 아파트는 무려 13.24% 올랐다. 2010~2011년 아파트 매매가가 떨어질 때도 30년 이상 된 아파트는 하락폭이 가장 작았다.

그러나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서울시가 소형평형 의무비율을 확대하는 등 재건축 인허가 기준도 강화돼 상당수 재건축 사업장이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닥터아파트 이영호 소장은 "최근 주택시장을 주도하는 실수요자는 낡은 재건축 아파트를 외면하고 있고 재건축 사업 지연으로 실망 매물까지 쏟아져 노후 아파트가 아파트값 하락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