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환절기 여드름 관리법

중앙일보

입력

신촌 하늘체한의원 오원석 원장

유난히 더웠던 올 여름도 끝나가고 있다. 유난히 습도와 온도가 살인적으로 높았던 올 여름에는 피지분비량이 늘어 여드름이 발생하거나 모공이 늘어나는 등의 피부트러블로 고민하는 이들이 많았다.

여름철은 덥고 습한 계절로 높은 기온과 자외선으로 피지 분비가 가장 활발해지는 시기이며, 땀도 많이 흘리기 때문에 노폐물로 인해 여드름이 생기거나 악화될 수 있어 피부과나 피부전문한의원을 찾는 이들이 가장 많은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가을이 되면 이 모든 문제가 사라지는 것일까? 여드름의 주요원인이 열인만큼 여름철이 가장 악화되기 쉬운 환경인 것은 맞지만 기온이 내려가는 가을철이라고 피부에 좋은 환경은 아니다. 특히 환절기에는 낮에 기온이 높다고 여름철처럼 유분기가 적은 화장품만 사용하게 되면 아침, 저녁 불어오는 찬바람에 피부 속 수분을 빼앗기기 쉽다. 차가운 공기와 건조한 바람은 여드름 유무를 막론하고 피부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여드름 피부의 경우는 외부 자극에 민감하기에 더욱더 주의해야한다.

가을철에는 기온이 점점 떨어지면서 피부가 건조해지고 각질이 많이 생기게 된다. 피부가 건조해지면 피부탄력이 떨어지면서 주름과 각질 등이 생기게 되고 각질이 모공 입구를 막아 여드름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각질제거를 주기적으로 해주어야 한다. 너무 스크럽 알갱이가 크거나 자극적인 제품은 여드름피부에 자극이 가기 때문에 자극이 덜 한 제품, 본인의 피부타입에 맞는 제품을 골라서 사용하도록 하자.

가을철에도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주어야 한다.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워 무엇보다 수분공급이 필요해 세안 후에는 수분크림을 잊지 말고 발라주며, 물도 수시로 마셔주어야 한다.

또한 차고 건조한 계절의 특성상 겨울철에는 피부의 신진대사 저하로 피부 각질층이 두꺼워져 피지분비가 제대로 되지 못해 여드름이 발생하게 된다. 또, 유분이 많은 영양크림이나 보습이 짙은 화장품을 자주 덧바르는 습관도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겨울철에도 각질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일주일에 한번 정도 각질제거를 통해서 모공 밖으로 피지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헤 주며, 수분 팩이나 영양팩 등을 일주일에 한두 번 해주는 것도 여드름관리에 도움이 된다.

실외와 실내의 극심한 온도차이도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너무 높은 난방은 피부를 건조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아무리 춥더라도 한 시간에 한 번 정도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주고 가습기 등을 꼭 켜두는 것이 좋다.

여드름은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는 피부질환이기 때문에 치료와 함께 집에서 관리하는 것도 여드름상태에 영향을 끼친다. 계절별 온도와 습도의 영향으로 인해 관리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관리법을 숙지한다면 여드름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