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가금류 폐사 피해 방지 대책 추진

중앙일보

입력

김성렬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9일 폭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용인시 소재 시설채소 농장과 안성시 소재 양계농가를 잇따라 방문하고 농가 대응 실태를 점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김 부지사는 이 자리에서 “농산물과 축산물의 폭염피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라”고 지시했다.

경기도는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과 고온 스트레스로 닭과 오리 등 가금류 폐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가금류 피해 방지 긴급 대책을 추진한다.

도에 따르면 현재 닭, 오리 등 도내 가금류 사육 수는 모두 3천584여만 수로 이번 폭염으로 이 가운데 0.61%인 22만여 마리가 폐사했다. 도는 이 같은 피해에 대해 가금류가 소나 돼지 등에 비해 고온에 약하고 상대적으로 사육밀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도는 폭염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긴급 가축방역비를 지원하는 등 피해 방지 대책을 추진한다.

우선 응급조치로 단위 면적당 병아리 입식 마릿수를 1㎡ 당 20마리에서 16.5마리로 조정하고, 다 자란 닭의 15%를 출하 예정일 5일전에 조기 출하해 사육밀도를 낮추기로 했다.

이와 함께 5천만 원의 예산을 긴급 편성해 닭 사육농가에 비타민C와 전해질제를 공급한다. 비타민C와 전해질제를 사료와 음용수에 섞어 공급하면 닭의 면역 및 내열성 증강, 항산화 작용,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이밖에도 대형 환풍기를 가동해 온도와 습도를 낮추도록 하고 닭이 서서 활동해 체온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깡통 등 간이시설을 설비하도록 사육농가에 안내한다.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중장기 대책도 마련한다. 우선 지하수를 이용해 축사를 냉각하는 수냉식 계사 등 시설 현대화를 추진한다. 농장 내에 나무 등 조경을 통해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에도 장기적으로 대비하기로 했다. 또 대비에도 불구하고 피해를 입은 농가들의 손실을 최소하 하기 위해 가축재해보험 가입도 유도하기로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더위가 심한 낮에는 가급적 사료와 물의 급여를 피하고 고온이 지속되면 이동을 자제하는 게 좋다”며 “특히 계사 안에 물을 분무하는 것은 습도를 높여 더운 열을 발생시키므로 자제해야한다”고 조언했다.

경기도는 현재 시군,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폭염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비상근무체제를 가동하면서 도내 피해사항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폭염 피해가 발생하면 피해조사를 통해 응급 복구비를 신속하게 지원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