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 중년에 잡아야 노년에 건강

중앙일보

입력

연세무척나은병원 전병호 원장이 환자의 무릎을 진단하고 살피고 있다.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정씨(56)는 연골손상이 심한 퇴행성관절염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평소 요가과 에어로빅 마니아인 정씨는 수술 후 운동을 즐길 수 없다는 말에 인공관절수술을 망설였다. 그런데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확인하니 정씨의 관절염은 무릎이 안으로 휘면서 오(O)자형 다리가 되는 ‘내반슬’이 원인이었다.

중년 여성, 관절염에 취약… 휜 다리도 한 몫
무릎이 안으로 휜 O자 다리는 무릎 안 쪽으로만 체중이 실려 연골 손상과 관절염의 원인이 된다. 이를 방치하면 연골은 더 손상되고, 결국 휜 다리가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근육과 인대가 약하기 때문에 연골 손상과 관절염에 더욱 취약한 편이다. 게다가 폐경기에 들어서면서 호르몬의 변화로 관절염을 앓기 쉽다. 하지만 연골 손상으로 인한 관절염은 초기 증상이 심각하지 않아 그대로 방치하다 치료 시기를 놓치는 일이 많다.
휜 다리의 정도는 특수 X-ray 장비로 측정할 수 있지만 간단한 자가진단으로도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다. 똑바로 섰을 때 양 무릎 사이에 두 손바닥을 합쳐 들어갈 정도의 틈이 벌어진다면 휜 다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퇴행성 관절염이 생길 위험이 높기 때문에 폐경기가 지난 O자 다리 여성은 전문가의 진단을 필요로 한다.

연골 재생치료와 휜 다리 교정 병행해야
최근 식약청 허가와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평가를 통과한 ‘줄기세포 연골재생치료’는 인공이 아닌 자신의 연골을 재생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수명에 따른 재수술의 부담이 적다.
자가성장인자(PRP)를 이용한 증식치료(프롤로)법은 초음파를 보면서 손상부위에 정확히 주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일상생활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늘어난 인대를 강화해 관절염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법들도 연골이 심하게 닳은 경우에는 효과를 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관절을 오래 보존하며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을 보내기 위해서는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연세 무척나은병원 전병호 원장은 “휜 다리를 똑바로 교정하는 수술과 함께 연골을 재생시키는 치료를 같이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며 “50대 이전에 급성으로 연골이 손상된 경우는 자가 골수줄기세포 연골재생술이, 만성으로 진행되는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동종 제대혈줄기세포 연골재생술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나경기자 nk.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