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37만명의 임상자료 공개된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대규모의 임상의학 자료가 국내 처음으로 공개돼 눈길을 모으고 있다.

아주대 의대 의료정보학과 박래웅 교수팀은 시스템바이오정보의학 국가핵심연구센터 김주한 교수,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박병주 교수팀과 공동으로 한국인 37만 명의 심전도 결과와 임상자료 데이터베이스(ECG-VIEW)를 구축해 공개한다고 6일 밝혔다.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지난 1994년부터 2011년까지 17년 동안 아주대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와 정상인 37만명의 심전도 데이터 71만건이 담겼다. 더불어 성별, 나이를 비롯해 심전도 측정 1년 전부터 측정 후 한 달 사이에 발생한 모든 진단명과 약처방 정보 3700만 건, 검사결과 300만 건 등 다양한 임상자료가 포함됐다.

이와 같은 대량의 의료 데이터베이스 공개는 전 세계적으로 처음 시도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더불어 임상의학 데이터가 필요한 보건의료 분야는 물론 정보통신, 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해당 데이터의 개인 식별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날짜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변경했다.

박래웅 교수는 "다양한 의학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법적 제약이나 기술적 한계 등으로 데이터가 부족해 어려움이 있다"며 "이 자료가 심전도 결과 위주로 구축돼 한계가 있지만, 환자ㆍ처방ㆍ검사결과 정보를 담아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에 공개된 데이터베이스는 및 자료추출 프로그램, 소스는 학술연구 목적으로만 공개되며, 홈페이지 www.ecgview.org에 접속한 후 비밀유지 서약 등의 절차를 밟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임상약학 및 치료학지' 7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의료계 옥죄는 법안 줄줄이~"이대로는 안돼" [2012/08/07] 
·'노인병' 더 이상 노인들만 걸리지 않는다? [2012/08/07] 
·한국인 37만명의 임상자료 공개된다 [2012/08/07] 
·내 머리 속에 '치매의 싹'이 있다? [2012/08/07] 
·바이엘, 어린이 환경 그림 그리기 대회 당선작 발표 [2012/08/07]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