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의 파워엘리트는 김·평·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평·남’. 김정은 체제의 파워엘리트를 상징하는 말이다. 김일성종합대학 출신에 평안남도(또는 평양)에서 태어난 남성이 핵심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노동당의 김양건 대남비서, 내각의 이광근 합영투자위원장이 그런 부류다. 통일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김정은 체제의 당·정 주요 인물’을 소개했다. 지난 4월 4차 당대표자회 이후 개편된 노동당 부장, 국방위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내각의 상(相·장관)급 이상 파워엘리트 106명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이들의 출신 대학으론 김일성종합대학이 3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김일성군사종합대학(17.7%), 김책공업대학(9.7%) 순이었다. 당의 학벌 편중이 더 심했다. 김일성종합대가 40%로 평균보다 높았고, 김일성군사종합대가 26%였다. 빨치산 자녀만이 들어갈 수 있는 만경대혁명학원 등 출신 성분을 성적보다 우선해 선발하는 김일성종합대의 관행이 당 엘리트 분포에서도 반영된 셈이다.

 반면 내각은 김일성종합대 29%, 김책공업대 24%, 국제관계대 12%로 출신 학교가 상대적으로 고루 분포된 편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당이 3대에 대한 충성을 우선시하는 반면, 내각은 실무형 테크노크라트를 발탁하기 위해 문호를 개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출신 지역은 평안남도가 18.6%로 가장 많았고, 평양 16.3%, 함북 16.3%, 함남 14.6% 등의 순이었다. 수도 중심의 이들 네 지역이 전체의 65.2%에 달했고, 황해남북도와 강원도 등 남한과의 접경지역 출신은 2%에 불과했다.

 남녀 비율은 극단적인 불균형을 보였다. 주요 요직의 남성 비율이 무려 94.3%에 달했다. 특히 내각 장관급 이상의 여성 비율은 2%에 불과하다. 여성이 11.1%(국무위원), 15.3%(19대 국회의원)를 차지하는 남한과 큰 차이를 보였다. 통일부 당국자는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11.5%)과 러시아(7%)에 비해 북한에선 가부장적 체제가 지배하고 있다”고 말했다.

 평균 연령은 69세(당 72세, 내각 63세)로 내각이 당보다는 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을 만드는 당은 60~80대가 주축인 반면, 집행기관인 내각은 50~60대가 주류다. 김정일의 숙부인 김영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명예부위원장은 92세로 최고령이었고, 김정은을 제외하면 이성호 상업상이 49세로 최연소다.

■ 관련기사

농장 간 김정은 "돼지들이 왜 이러나"
이 대통령 "북 동향 예의주시"…군 정보감시 태세 강화
김정은, 신군부와 갈등설…현영철 내세워 군 물갈이하나
김정은의 파워엘리트는 김·평·남
외화벌이 업체 '청송'…신군부 김영철이 강탈
이영호 숙청 부른 군·민 돈줄다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