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정찰기로 3D 지도 제작 사생활 침해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슈밋

구글(회장 에릭 슈밋)과 애플이 사생활 침해 논란에 휩싸였다. 3D(3차원) 지도 서비스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민주당 찰스 슈머 상원의원의 보좌관들은 지난 18일(현지시간) 구글 본사를 방문해 3D 지도와 관련한 사생활 침해 문제를 논의했다. 22일엔 애플을 방문할 예정이다.

 문제가 촉발된 것은 지난 7일(현지시간)이다. 이날 구글은 샌프란시스코에서 간담회를 열고 올해 안에 미국 주요 도시에 대한 3D 지도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비행기가 문제였다. 군사용 정찰기 수준의 탐색 능력을 갖췄던 것이다. 슈머 의원 측은 “비행기에 장착된 카메라는 땅 위에 있는 10㎝ 크기의 물체까지 찍는다. 이 비행기가 상공을 날아다니면 뒷마당에서 일어나는 개인적인 일상이 찍혀 전 세계에 공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11일엔 애플이 ‘세계개발자회의(WWDA)’에서 자체 제작한 3D 지도를 아이폰에 탑재하겠다고 밝혔다. 구글과의 경쟁을 의식한 것이다. 3D 지도가 스마트폰 핵심 콘텐트인 만큼 ‘구글에 뒤질 수 없다’며 발표한 계획이었다. 이에 대해 슈머 의원이 ‘사생활 침해’를 걸고 나오자 구글와 애플 두 회사는 즉각 반박했다. 지도 이미지가 사생활을 침해할 만큼 선명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 여러 장의 사진을 찍기 때문에 문제의 소지가 없는 걸 골라 쓸 수 있고, 최종 단계에서 얼굴·자동차 번호판같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제거된다는 게 양사의 해명이다. 하지만 우려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2010년 구글이 전 세계 12개국에서 사생활 침해 논란을 일으킨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때도 ‘스트리트뷰’란 지도가 문제였다.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위성위치확인시스템(GSP) 정보뿐 아니라 개인이 쓰는 무선인터넷 정보를 활용했는데, 이 과정에서 e-메일과 비밀번호 같은 개인정보가 무단으로 수집됐다.

그해 8월 한국에서도 60만 명에 대한 개인 통신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한 혐의에 대한 검찰 수사가 이뤄지기도 했 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