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한국경제, 생산성 주도형으로 전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5면

한국 경제가 2000년대 후반부터 자본·노동 등 요소 투입형에서 ‘생산성 주도형’으로 바뀌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노동이나 자본이 아닌 기술 발전 등이 한국의 실질소득 증가를 이끌었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20일 ‘한국 2000년대 중반 이후 생산성 주도형 경제로 이행’ 보고서에서 2006년 이후 2010년까지 실질 총소득(NNI)이 연평균 3.41% 늘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자본과 노동 등 요소 투입에 의한 소득 증가 기여도는 1.68%포인트에 그쳤으나 생산성의 기여도는 2.04%포인트에 달했다. 생산성이란 노동·자본 투입으로 설명되지 않는 소득 증가 부분을 수치화한 것으로 기술 발전, 규모의 경제, 효율성 증대 등을 포괄한다.

 보고서는 “지난 30여 년간 노동과 자본을 얼마나 투입했느냐가 소득 증가율을 결정짓는 가장 주된 요인이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 생산성의 기여도가 높아졌다”며 “한국 경제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이행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