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관이 스파이?…경찰 조사 나서자 본국 줄행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간첩 의혹이 있는 일본 주재 중국대사관 외교관이 일본 경찰 당국의 출두 명령을 거부하고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29일 보도했다. 문제의 외교관은 1등 서기관(45)으로, 중국 인민해방군의 정보기관인 총참모부 출신이다.

 신문에 따르면 그는 1989년 인민해방군 산하 외국어학교를 졸업한 뒤 총참모부에 들어갔으며 99년 4월 일본의 정치인 양성기관인 마쓰시타(松下)정경숙의 외국인 인턴으로 참여했다. 동기생 중에는 모리오카 요이치로(森岡洋一郞) 민주당 의원 등이 있다. 2003년부터 4년여 동안 도쿄대 부속기관인 ‘동양문화연구소’ ‘공공정책대학원’에 적을 두고 일본 내 네트워크를 넓혀갔다고 한다.

 2007년 7월 주일 중국대사관 경제담당 서기관으로 정식 부임한 그는 외교관 신분을 활용해 일본 내 정·재계 인사들에게 접근했던 것으로 일본 경찰은 분석하고 있다.

 또한 2008년 4월에는 외교관 신분을 숨기고 도쿄의 한 구청에서 과거 도쿄대 연구원 시절 취득했던 외국인등록증을 갱신했다. 일본의 한 건강식품회사로부터 “중국 진출을 돕겠다”며 자문료 명목으로 월 10만 엔, 임원 보수 자격으로 수십만 엔을 받은 사실도 드러났다.

 신문은 “일 공안 당국은 그가 대사관에 부임할 때부터 총참모부 출신이란 점을 파악하고 동향을 감시해 왔다” 고 보도했다. 이번 보도는 도쿄도의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 섬 매입 방침과 세계 위구르회의(WUC)의 도쿄 개최에 맞서 중국이 요인들의 일본 방문 계획을 연이어 취소한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