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중국이 기침하면 몸살 앓는 한국 경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차이나 리스크가 현실로 다가왔다. 올 들어 중국의 경제지표들이 모조리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산업생산증가율, 수출증가율, 소비자 신뢰지수, 고정자산 투자율 등이 모두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 유럽 재정위기로 중국의 수출이 타격을 받은 데다 정치 혼란으로 정책 대응마저 타이밍을 놓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의 올해 실질경제(GDP) 성장률이 목표치인 7.5%를 밑돌더라도 곧바로 위기를 의미하는 건 아니다. 중국은 여전히 재정투자를 늘릴 여력이 충분한 데다 인민은행이 기준금리 인하와 지급준비율 완화를 통해 경기를 떠받칠 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문제는 중국의 경제 불안이 우리에게 몰고 올 쓰나미다. 중국은 지난해 우리 수출의 24.1%를 차지한 최대 수출국이다. 그런 중국 경제가 가라앉으면서 올 1분기 우리의 수출증가율도 3%대로 내려앉았다. 특히 대(對)중국 수출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6%로 고꾸라지자 대중 수출 비중이 압도적인 부품·소재 수출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여기에다 중국의 과잉투자 후유증으로 한·중·일의 철강·석유화학 업체들은 운명을 건 치킨 게임까지 벌이는 양상이다. 중국이 기침하자 우리 경제가 몸살을 앓는 것이다. 한국의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향후 경기를 어둡게 보는 98.3으로 곤두박질한 것도 중국의 경제 불안이 큰 몫을 차지했다.

 지난 20년간 우리가 중국 특수를 누렸다면 이제는 차이나 리스크에 대비해야 할 때다. 더 이상 중국의 고도성장은 기대하기 어렵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 무엇보다 임가공(賃加工) 중심의 대중 수출을 중국의 내수시장(內需市場)을 직접 공략하는 구조로 바꾸는 게 중요하다. 새롭게 부상하는 중동·남미·아프리카 등으로 수출지역 다변화를 서두르고, 필요하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논의도 가속화시켜야 할 것이다. 만의 하나 중국 경제의 경착륙에 대비한 비상대책을 세우면서 장기적으로 중국의 경제 모델 변화에 맞춰 우리의 경제 체질도 바꿔야 한다. 차이나 리스크를 막는 것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