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까지 1859㎞ … 군사적 요충지, 긴급 사태 땐 중국·러시아 봉쇄 가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도쿄까지 1561㎞, 서울까지 1275㎞, 베이징까지 1859㎞-.

 오키나와현의 현청 소재지인 나하(那覇)시로부터 측정한 동아시아 주요 도시까지의 거리다. 이 지역에 오키나와가 차지하는 위치적 의미를 가늠할 수 있는 수치다.

 2차 세계대전 뒤 냉전 시작과 동시에 미국은 유럽과 아시아의 요충지에 병력을 전진배치하는 전략을 취해왔다. 그리고 오키나와는 아시아 전략의 핵심이었다. 1948년 ‘대소련 봉쇄정책’을 기초한 조지 캐넌의 보고서에도 “오키나와를 항구적으로 보유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72년 오키나와를 일본에 반환하면서도 미국은 “자유로운 기지 사용권을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긴급 시 핵무기를 저장하고 통과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해야 한다”는 전략으로 반환 협상에 임했고, 이를 관철시켰다.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소련 붕괴와 북한 핵 위기, 최근 중국의 군사적 급부상 등 동아시아 정세의 변화 속에서도 미군 요새로서 오키나와의 지위는 철저하게 지켜졌다.

 그런데 지난달 말 발표된 ‘주일미군 재편계획 수정 공동문서’엔 오키나와에 주둔 중인 미 해병대 1만9000명 중 9000명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괌 4000명, 하와이 2600명, 호주 1200명, 미국 본토 800명 등이다. 이는 미·일 양국이 중국을 겨냥한 ‘동적방위(動的防衛) 협력’ 전략을 수립한 데 따른 것이다. 일본 언론들은 “해양 진출을 위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중국을 겨냥해 오키나와와 난세이(南西)제도를 중심으로 양국 군의 기동성과 억지력을 향상시키는 게 목적”이라고 설명한다.

 미 해병대의 분산은 오키나와의 전략적 중요성이 반감됐다는 걸 의미하는가. 아사히(朝日)신문은 “중국과 너무 가까워 미사일 공격의 표적이 될 수 있는 오키나와에 해병대를 집중시키는 걸 미국이 불안해하기 시작했다”며 “미군 요새로서의 오키나와가 기로에 섰다”고 전했다. 반면 니혼게이자이(日本<7D4C><6E08>)신문은 “미 해병대의 대중국 거점을 오키나와라는 ‘점’이 아닌 오키나와-괌-호주 다윈 기지의 ‘그물’로 엮으려는 게 미국의 의도”라고 분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