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판매 수수료 ‘꼼수’인하 경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형식적, 숫자 채우기식 판매수수료 내리기는 스스로 시정해라.”

 공정거래위원회가 9일 11개 대형 유통업체 임원을 불러 이렇게 경고했다. 공정위는 “자진 시정하지 않으면 6월까지 실태 점검을 거쳐 그 내용을 공개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자리엔 백화점 3사(롯데·현대·신세계)와 대형 마트 3개사(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TV홈쇼핑 5개사(GS·CJ·현대·롯데·농수산) 임원이 참석했다.

 지난해 대형 유통업체는 중소 납품업체에 대해 판매수수료를 3~7%포인트 인하키로 했다. 업체들은 “합의대로 수수료를 내렸다”지만 공정위는 “실질적으로 중소기업에 도움이 안 되면 문제”라는 입장이다. 특별할인은 수수료 인하에서 제외하거나, 매출액이 미미한 업체를 골라 인하 대상 기업 숫자만 채우는 식의 꼼수가 있다는 지적이다.

 판촉사원 인건비를 협력업체에 떠넘기거나, 판매수수료를 과도하게 올리는 등의 불공정 행위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공정위 지철호 기업협력국장은 “핫라인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며 “업체가 자율적으로 개선하는지 보고 현장조사를 나갈지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7일 공정위가 현장조사를 실시한 홈플러스처럼 조사받기 싫으면 알아서 고치라는 뜻이다.

 이 자리에서 공정위는 농수산홈쇼핑을 제외한 10개 업체에 올해 동반성장협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했다. 지난해 3곳(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과 협약을 맺었지만 올해는 협약 체결 목표를 크게 늘렸다. 일부 업체는 “지금은 어렵겠고 나중에 체결하겠다”며 소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