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호선 요금 결국 더 오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서울메트로 9호선의 일방적인 요금 인상 추진 논란과 관련해 서울시가 요금을 일부 인상해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16일 “내부 검토 결과 민자회사인 메트로 9호선의 적자를 메워주기 위해서는 100~200원 정도의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당초 메트로 9호선 측의 요금인상 추진에 강한 불만을 표시했던 서울시가 입장을 바꾼 것이다. 메트로 9호선 측은 지난 14일 서울시와는 협의 없이 지하철 역사에 요금을 현행 1050원(교통카드 기준)에서 1550원으로 올리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붙여 논란을 빚었다.

 서울시가 강공책을 쓸 수 없는 데는 메트로 9호선 측과 맺은 협약 때문이다. 2005년 양측이 맺은 협약에 따르면 서울시는 9호선 운영수입이 협약 예상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 차액을 메워줘야 한다. 최소운영수입 보장(MRG) 조항으로 최초 5년은 예상 수입의 90%, 이후 5년은 80%를 보장해 주기로 했다.

 당시 잠정 요금은 1500~1800원 선이었다. 메트로 9호선 이진석 경영지원과장은 “실시협약에 따르면 올해 요금은 1850원 내에서 받을 수 있게 돼 있다”고 말했다. 2010년 예상수요는 하루 평균 19만2952명이고 실제 수요는 97.2%인 18만2000명이었다. 당초 예정 요금을 받았다면 서울시가 메트로 9호선에 돈을 줄 필요가 없는 셈이다. 하지만 요금을 일반 지하철요금과 동일하게 묶어놓았기 때문에 실제 수입은 예상치에 크게 못 미쳐 2009년 142억원, 2010년 322억원, 지난해 250억원을 지원해야 했다.

최모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