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서점 대책 협의회' 발족

중앙일보

입력

''도서정가제''와 관련한 업계의 움직임이 끊임없이 바쁜 걸음을 내딛고 있는 가운데, 드디어 10여개의 인터넷 서점이 출판계의 ''도서공급중단'' 사태에 정면으로 맞서는 공식 모임을 결성, 향후 이번 사안을 둘러싼 관련자간 싸움이 점점 더 거세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북스포유(www.books4u.co.kr), 인터파크(www.bookpark.com), 알라딘(www.aladin.co.kr), 크리센스(www.cresens.com) 등 10여개 인터넷서점들은 최근 출판계에서 내건 도서공급중단사태를 놓고 이에 공동대응하는 차원에서 ‘인터넷서점대책협의회’를 발족시켰다고 밝혔다.

현재 인터넷서점에 대한 도서공급중단에 참여하고 있는 출판사는 190여개 출판인회의 소속 출판사중 50여개. 그러나 출판인회의측은 동대문 등의 도서도매상들로부터의 인터넷서점에 대한 도서공급을 금지시키고 감시인원을 파견하는 등 사실상 인터넷서점들의 판매 도서 공급에 타격을 주고 있다.

또한 출판인회의는 도서공급중단과는 별도로 이에 참여하고 있는 출판사들에서 발행되는 도서들을 인터넷서점의 도서목록에 게재하는 것을 금지시키고 목록을 삭제하는 공문을 준비하는 등 출판계의 대응 또한 점입가경이다.

출판인회의측은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법원의 가처분신청이 받아들여지면 인터넷서점들은 업무를 불가피하게 중단해야한다.

이에 대해, 인터넷서점들은 “이는 저작권에 대한 작위적 해석일 뿐이며, 법적 근거자료 등을 준비해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대책협의회는 로펌인 로미디어그룹의 조용호변호사를 선임,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대책협의회에 참여한 인터넷서점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하여 인터넷 서점의 소비자인 네티즌들의 반응을 보기 위해 현재 각각 자사의 사이트에 게시판을 운영중. 현재까지의 여론은 인터넷서점들의 입장을 지지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인터넷서점 대책 협의회에서는

도서공급중단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에 시정명령 요청
국정감사에서 현 사태와 관련 관계부처 장관에 질의
출판인회의가 속해 있는 정보통신부에 제재 요청
공동의 게시판을 운영, 네티즌들의 여론 규합

등과 같은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번 ''도서정가제'' 파문은 출판계와 인터넷 서점간의 싸움이 아니다. 책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권익에 대해서는 여타의 언급없이 일단 밥그릇 싸움으로만 치닫고 있는 이번 사태는 ''의약분업 사태'' 처럼 신중하고 체계적인 준비없이 상황을 조성한 정부의 잘못도 있다. 이번 ''도서정가제'' 와 관련한 사안은 크게 보면 국내 EC 비즈니스의 대표선수인 인터넷 서점의 향방을 지워줄 시금석이 될 수도 있다.

사태를 좀 더 지혜롭게 해결해 나가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때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