흩어진 임시정부 자료, 광복 67년 만에 첫 집대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이태진·사진)가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전 51권)을 최근 완간했다. 국내·외에 흩어진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해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자료집은 원본과 번역본을 함께 실어 내용을 대조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올해 안에 인터넷으로도 자료를 서비스한다. 오는 4월 10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임시정부 자료집 완간을 기념하는 학술회의도 열 계획이다. 이태진 위원장은 “당초 임시정부 수립일인 4월 11일에 학술회의를 열 예정이었으나, 총선과 날짜가 겹치는 바람에 하루 앞당겼다”고 말했다.

 - 임시정부 자료집 출간 의미는.

 “여기저기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던 자료들을 한 곳에 모은 의미가 크다. 광복 67년 만에 처음이다. ‘조선-대한제국-대한민국임시정부-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국가 정통성의 체계를 세우는 일이다.”

 - 어려운 점은 없었나.

 “광복 60주년인 2005년 편찬 작업이 시작됐다. 자료 수집과 예산상의 어려움이 생기면서 2009년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2년 전 다시 박차를 가해 이번에 종료하게 됐다.”

 - 어떤 내용을 담았나.

 “상하이(上海·상해), 충칭(重慶·중경) 같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거점 역할을 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시기를 나누었다. 각 시기의 임시정부와 의정원(국회) 관련 기록, 언론보도 등 현재까지 우리가 구할 수 있는 자료를 51권(본책 45권, 별책 6권)에 모았다. 한인애국단·광복군 등 임시정부 산하단체 자료, 미국·중국은 물론 유럽 여러 나라들과의 외교 문서, 그리고 한국독립당·조선민족혁명당·한국국민당 등의 정당 자료도 포함됐다.”

 - 보완할 게 있다면.

 “1932년 윤봉길 의사의 의거 이후 일본군이 상하이 임시정부를 기습 조사하며 행정부 기록을 가져갔다. 이 때문에 당시 자료는 주로 의정원 회의록과 언론보도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당시의 행정부 자료가 상하이 일본 대사관에 소장돼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는데, 사실 관계를 정확히 조사한 후 사라진 자료를 확인할 수 있으면 좋겠다.”

 - 향후 계획은.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것처럼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도 올해 안에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해 누구나 쉽게 접근하게 할 예정이다. 또 임시정부 자료집에 이어 『자료 대한민국사』(가칭)를 펴내는 일이다. 모두 10권 예정으로 지난해부터 작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2013년 말께 첫 선을 보일 수 있을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