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외교관 지키는 무인기 띄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미국 정부가 해외의 자국 외교관을 보호하기 위해 장난감 비행기 크기의 소형 무인 정찰기를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미 CNN 방송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빅토리아 뉼런드 국무부 대변인의 말을 인용해 “위험지역의 미국 외교시설과 외교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길이 60cm 크기의 무인기를 상공에 띄워 필요한 화상을 수집하고 경호에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국무부 시설뿐 아니라 외교관이 외출 등으로 이동할 때, 외교관의 상공을 비행하며 주변 정보를 수집한다는 계획이다. 위험한 지역에 한해 활용한다는 방침이지만 정찰기를 이용하게 될 국가에 대해서는 보안상의 이유를 들어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미군이 지난해 12월 완전 철수한 뒤 이슬람 종파 간 싸움이 재연되고 있는 이라크와 탈레반의 테러 공격이 빈발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등이 대상국으로 검토되고 있다. 미 국무부는 미군 철수 후에도 이라크에 대규모 외교단을 상주시키고 있다. 그러나 과거 미군과 정보기관의 정찰 활동으로 안전했던 지역의 치안 상태가 눈에 띄게 악화하고 있다.

 미 국무부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2010년 12월 이라크에서 이 정찰기의 시험비행을 성공리에 실시했다. 보고서는 “국방부가 다른 정보기관과 협력해 저공비행과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무인 정찰기의 작전 투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라크에서 운용된 무인 항공기 논란과 관련해 “바그다드 주재 미 대사관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춰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바마는 또 이라크에서 무인기를 사용하는 데 대해 “무인기 여러 대를 운용하는 게 아니라 미 대사관 구내의 안전을 지키려고 감시활동을 펴는 것”이라며 “지극히 제한적 범위에서만 쓴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무인정찰기 시험 비행 사실을 확인한 이라크 측은 자신들과 “한 차례 사전 동의도 없었다”고 반발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지난해부터 무인 정찰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를 모집 중이다. 고화질 화상을 제공하고 위험 정보를 토대로 이동경로를 만들고, 원격지에서 일어난 경호상의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사업자가 그 대상이다.

 미국은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에서 무인 폭격기를 출동시켜 반정부 무장세력의 간부 암살 작전 등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예멘과 소말리아에서도 무인 폭격기를 활용하고 있다고 CNN은 보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