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자체 기획 늘려 … 한국 현대미술 세계화 진원지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앞으로 외부 이벤트 기획사가 주관하는 블록버스터 전시는 지양하겠습니다.”

 김홍희(64·사진) 서울시립미술관장이 2일 취임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도심 교통의 요지에 위치한 서울시립미술관은 그간 외부 기획사에 장소를 내 주고 고흐·샤갈·모네 등 서구 근대 미술의 거장들을 들여와 관객몰이를 해왔다. 서구 미술사의 대표작을 국내에 소개하는 역할도 했지만 “대표적 공립미술관으로서 자체 기획이 실종됐다”는 비판도 받았다.

 김 관장은 “시립미술관을 서울 시민은 물론 한국 미술인들의 자랑거리이자, 한국 현대미술 세계화의 진원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술관은 작가·작품을 알릴 뿐 아니라 역량 있는 큐레이터도 배출해야 한다”며 “큐레이터의 기획력 신장을 위해서도 자체 기획전 중심으로 전시를 운영하겠다”고 했다. “외부 기획사에게 위탁할 게 아니라 유수의 미술관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해 교류전을 열며 세계적 수준의 현대미술관으로의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립미술관의 올해 예산은 97억원. 모두 시민들의 세금에서 나온다. 관람객 수 같은 가시적 성과에 대한 압박을 받을 법도 하다.

 김 관장은 이에 대해 “ 시립미술관이 ‘한 눈에 알 수 없고 어렵다’고들 하는 현대 미술로의 물꼬를 트는 소통의 전선에 있겠다”고 말했다. 이어 “19세기 말∼20세기 초 대가들은 이미 많이 소개됐기 때문에 요셉 보이스·앤디 워홀 등 20세기 중반 이후 대가들을 소개한다면 관객이 뚝 떨어질 것 같진 않다”고도 설명했다.

 그는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2003), 광주 비엔날레 총감독(2006) 등을 지냈다. 2006년부터 4년간 경기도미술관장으로 재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