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어느 곳이든 절반 물갈이’ 거론 … 지역구 의원 144명 중 91명 바뀔 수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 권영세 사무총장은 1일 “19대 총선 공천과정에서 현역 의원의 절반 가까이 탈락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당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 간사인 권 사무총장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 출연해 공천기준을 설명하면서 “지역구 의원의 25%를 강제 탈락시키고, (경선을 치르지 않고 지도부가 낙점하는) 전략지역과 이미 용퇴한 분들까지 고려할 때 어느 지역이든 절반 가까이 탈락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그러면서 “강남 3구 등 강세지역은 최소 50% 가까이 변화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권 총장이 밝힌 공천기준에 엄격히 따를 경우 지역구 현역의원 144명 가운데 최대 91곳(63%)이 교체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우선 김형오 전 국회의장과 이상득 의원처럼 불출마를 선언한 한나라당 의원은 8명이다. 이들을 제외한 한나라당 현역의원 중 경쟁력·교체지수 하위 25%룰을 적용하면 34명이 추가로 포함된다. 여기에 전략지역을 20% 선정하면 다시 49명을 더해야 한다. 이를 합하면 최대 91곳이 교체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권 총장은 전략지역에 대해선 “서울 종로나 세종시처럼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상징적 지역과 강남 3구 등 강세지역 가운데 외부의 휼륭한 분을 영입해 투입하는 지역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부정비리와 관련해선 법률적 책임을 질 가능성이 있는 사람도 공천을 줘선 안 된다”며 “(형법상) 무죄추정의 원칙이 있지만 (공천은) 사법절차가 아니기 때문에 혐의만 가지고도 배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부패에 연루된 혐의로 검찰조사만 받아도 공천에서 탈락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현행 한나라당 당규는 ‘부정부패 관련 금고형 이상 최종심 확정자나 재판중인 자’로 돼 있는데, 이 같은 ‘부적격자 기준’의 적용을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권 총장은 ‘이명박 정부 실세 용퇴론’에 대해선 “잘못이 있다면 스스로 책임지는 게 맞지만 ‘이지메’하듯이 강제로 물러나게 하는 건 민주적이지 않다”며 “전략공천 지역이 아닌 이상 국민여론이나 경선을 통해 책임이 걸러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재오 의원의 불출마를 주장했던 이상돈 비상대책위원은 지난달 31일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패한 나경원 전 의원의 용퇴론까지 제기했었다. 김종인 비대위원도 이날 “나경원 전 의원은 서울시민에게 이미 거부당했기 때문에 서울시 국회의원에 다시 출마하는 건 어리석은 행위”라고 가세했다.

그러나 권 총장은 “(나 의원이) 서울 중구 후보로 결정되는 게 옳고 그른지는 지역주민이 심판할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