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대우차 인수에 관심" 성명

중앙일보

입력

포드가 대우차 인수를 포기함으로써 대우그룹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전체적으로 흔들리게 됐다.

대우 구조조정협의회는 채권단과 협의해 매각 방식과 일정을 다시 짤 움직임이지만 연내 매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포드, 왜 포기했나〓대우 구조조정협의회나 포드 모두 포기 이유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자동차 업계는 최근 파이어스톤의 타이어 리콜에 따른 자금부담이 가장 큰 원인일 것으로 보고 있다.

타이어 리콜에 들어가는 직접 비용과 향후 품질관리, 떨어진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자사주 매입 비용(2001년까지 50억달러) 등을 감안하면 7조7천억원(70억달러 정도)의 대우차 인수자금을 마련하기가 어려우리란 예상이다.

그러나 미라쿠마 포드 대우차 인수관련 대변인은 "파이어스톤 타이어 리콜 문제와 대우차 인수 문제는 별개이며 서로 영향을 준 바 없다" 고 말했다.

대우차의 최종 인수가격이나 대우차 추가 부실이 문제가 됐느냐는 질문에 "대우 구조조정협의회와의 비밀보장 협정에 따라 확인해줄 수 없다" 고 말했다.

포드사는 미국 파이어스톤사가 제조해 납품한 레저용 차량(RV)용 타이어가 과속할 때 금이 가고 파열이 발생하는 결함이 생겨 리콜을 실시 중이다.

문제의 타이어는 파이어스톤사가 포드 익스플로러 등 레저용 차량에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방식으로 납품한 것으로 6백50만개에 이른다.

포드는 타이어 리콜 문제로 8월 이후 주가가 12% 급락하자 14일 50억달러의 자사 주식 매입을 결정했다.

또 파이어스톤 타이어 공급이 중단되면서 익스플로러 트럭 공장 3곳을 폐쇄해 3분기에만 2억5천만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

포드는 또 1980, 90년대 치명적인 교통사고와 관련된 차량엔진의 결함을 알고도 10년이 넘도록 침묵한 사실이 문제가 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12일 포드가 엔진에 부착하는 컴퓨터 점화 시스템이 너무 열을 받으면 엔진작동을 중단시켜 차가 고속도로나 좌회전 중에 멈춰 교통사고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알고도 은폐해 왔다고 보도했다.

대우차 관계자는 "정밀 실사과정에서 추가 부실이나 우발채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 며 "추가 부실이 발견됐으면 포드가 값을 깎으려 들지 인수 자체를 포기하지는 않았을 것" 이라고 말했다.

◇앞으로의 매각 절차〓대우 구조조정협의회 한영철 상무는 "15일 아침 포드로부터 연락을 받고 채권 금융기관에 알렸으며, 백지상태에서 다시 매각작업을 시작하겠다" 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는 지난 6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때 정부와 채권단이 포드와의 협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재입찰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점으로 미뤄 제너럴모터스(GM)-피아트 컨소시엄, 다임러크라이슬러-현대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한 공개입찰이 다시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와 채권단은 통상 1순위와 2순위 우선협상대상자를 정해온 것과 달리 포드가 제시한 가격이 월등히 높다며 2순위 이하 대상자를 정하지 않은 채 포드에 매각하는 것이 실패할 경우 재입찰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GM은 포드의 포기 소식이 전해지자 성명을 내 "입찰과정에서 밝혔듯 우리는 계속 대우차 인수에 관심이 있다" 며 "현 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피아트와 상의 해 한국당국과 논의할 수 있다" 고 밝혔다.

대우차 관계자는 "공개입찰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는 수의계약 방식으로 매각이 이뤄질 수도 있다" 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 관계자는 "대우 구조조정협의회가 향후 계획을 정하지 않았고 1차입찰 때와는 자동차산업 여건이 달라졌기 때문에 인수 문제에 대해선 면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