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청 4월 착공인데 다른 데 짓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행정중심복합도시인 세종시의 출범(7월1일)이 5개월여 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세종시 청사 위치가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의 이해관계에 휘말릴 조짐이다. 시민단체와 4·11총선 출마 예상자들이 자신의 이해득실을 따져 청사 위치를 변경 또는 원안 주장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행정도시건설청에 따르면 900억여원이 투입되는 세종시청사는 남부권인 연기군 남면 호탄리 3생활권 지방행정기관 건립부지에 4월 착공하기로 하고 이미 부지조성과 실시설계도 끝낸 상태다. 이에 따른 예산도 지난해 12월까지 약 300억원이 투입된 상태다.

 건설청은 올해 상반기 안에 원안(남부권)대로 시청사를 착공한다는 계획이지만 이에 대한 시민단체와 후보들의 견해가 서로 다르고, 일부 후보는 세종시의 미래를 위해 시청사 착공 시기를 세종시 출범 이후로 미룰 것을 공개적으로 주장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청사위치 재검토를 요구하는 쪽은 연기군 일부 지역이 세종시에 포함 됐을 때 결정돼 불합리하다는 주장이다. 당초 연기군은 금남·남·동면 등 3개 면만 세종시로 포함됐지만 2010년 12월5일 세종시 특별법이 공포되면서 조치원읍·서면 등 전체가 편입됐다.

 민주당 김준회 예비후보는 “2010년 12월 ‘세종시설치법’의 국회 통과로 연기군 전체가 세종시로 흡수되는 만큼 시청사는 현재의 남부권이 아닌 북부권으로 와야 한다”며 “시청사 위치 변경을 이번 선거공약으로 내걸어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세종시 관할구역이 확대됐는 데도 일부 인사들이 이미 결정됐다는 이유로 시청사 위치 변경 불가를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행정도시건설청은 시청사 문제를 공론화하고 착공시기를 세종시 출범 이후로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민호 예비후보(무소속 )는 “시청사 문제는 지역분열과 대립을 조장할 우려가 있는 만큼 후보들이 공약으로 제시해선 안 된다”며 “하지만 (세종시)시장은 시민의견을 대변하는 자리이므로 세종시 출범 이후 시민이 요청하면 ‘폭넓은 논의기구’를 만들어 구체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한나라당 김광석 예비후보는 “시청사 위치를 변경하면 주민갈등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현 청사를 유지하되 조치원읍에 있는 연기군청사를 제2청사로 활용하면 균형발전을 꾀하며 주민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도 시청사 위치 문제 논란에 가세하고 있다.

 세종시균형발전협의회(회장 이인상) 등 연기지역 일부 시민단체는 “연기군 전체가 세종시로 편입됐지만 세종시 개발계획은 남면 등 남부권만을 대상으로 한 것인 만큼 북부권에 대한 대책마련 차원에서 세종시청사 위치를 조치원읍 쪽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행정도시건설청이 세종시청사 착공 중단을 요청하는 행정소송을 대전지방법원에 냈다.

 이에 맞서 대전·충남북 30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세종시 정상추진 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상임대표 이상선)는 “시청사를 조치원읍 쪽으로 옮기려면 정치적 합의와 행정적 절차 등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심한 갈등이 불거질 것”이라며 원안대로 건립할 것으로 촉구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