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주택 인허가 48만여가구…전년比 24%↑

조인스랜드

입력

[김영훈기자] 지난해 주택 인허가 물량이 2010년보다 9만가구 이상 많은 48만가구를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공공아파트인 보금자리주택 건설 부진에도 불구하고 도시형 생활주택과 다세대ㆍ다가구, 지방을 중심으로 한 민영아파트 건설 물량이 전년도에 비해 늘어난 까닭이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주택 인허가(건축허가, 사업승인) 물량을 추산한 결과 총 48만여가구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민간 다세대 등 증가 영향

이는 지난해 6월 주택종합계획에서 수립한 주택공급 목표물량인 40만4000가구에 비해 7만6000가구(18.8%) 초과 달성한 것이자 2010년 실적인 38만7000가구에 비해 24% 증가한 것이다.

지난 2007년 55만5792가구에 달한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08년 37만1285가구로 급감한 뒤 2009년 38만1787가구, 2010년 38만7000가구로 떨어지다가 지난해 4년만에 처음으로 40만가구를 넘어섰다.

이처럼 인허가 물량이 당초 목표를 초과한 것은 민간부문의 주택 건설이 활발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1월까지 공식집계된 민간주택 인허가를 물량은 총 37만3065가구로 2010년(1~11월)의 19만2723가구에 비해 무려 93.6%나 증가했다.

한국주택협회 김동수 실장은 "민간 건설사들이 미분양이 심각했던 2010년에 사업을 미뤘다가 지난해에 매수심리가 회복된 지방을 중심으로 다시 추진하면서 민간 아파트 물량이 2010년보다 늘었다"고 말했다.

특히 단독·다가구·다세대(도시형 생활주택 포함) 등 아파트 이외의 물량이 크게 늘었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11월 아파트 외 주택 건설 인허가는 모두 17만798가구로 2002년 27만707가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토부는 아직 집계가 끝나지 않은 지난해 12월분까지 포함하면 지난해 전체 민간주택 인허가 물량이 2010년(24만8000가구)보다 50% 가까이 늘어난 37만여가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단독·다세대·다가구 등은 공사 기간이 짧기 때문에 지난해 인허가 물량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입주를 시작할 것"이라며 "아파트를 대신해 전월세 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문제는 공공아파트다. 지난해 1~11월까지 공공주택 인허가 물량은 총 2만8433가구로 2010년 같은 기간(3만6316가구)에 비해 21.7% 줄었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보금자리주택 사업승인이 집중된 것을 감안해도 LH와 SH공사, 지자체 공사 등이 인허가를 받은 공공 보금자리주택 물량은 총 11만여가구에 그칠 것으로 추산한다.

이는 지난해 보금자리주택 공급 목표 15만가구(신축 다세대 매입 2만가구 포함)의 73%에 불과하고, LH의 통합으로 공급 실적이 저조했던 2010년(13만8000가구)보다도 2만8000여가구가 모자란 것이다.

공공은 11만가구로 저조

건설산업전략연구소 김선덕 소장은 "공공아파트가 무주택 서민을 위한 주택인 것을 감안하면 최근 공급물량 감소가 서민들의 내집마련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3~4인 가구가 선호하는 아파트 비중이 줄어들고 있어 전세난 해소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많다.

수도권의 경우 주택 인허가 물량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1~11월 누계 기준)에는 64.6%에 달했으나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인 55.6%로 줄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불과 3~4년 전까지 아파트 비중이 전체의 70~80%대였던 것에 비하면 최근들어 그 비중이 급감한 것"이라며 "도시형 생활주택과 다세대ㆍ다가구 등이 아파트 수요를 얼마나 흡수할 것인지가 향후 주택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