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김정일 사망 당일 알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류훙차이

중국 지도부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당일인 17일 류훙차이(劉洪才·56) 주북한 중국대사의 첩보 보고를 통해 김 위원장의 유고 상황을 파악했다고 베이징 소식통이 20일 말했다. 북한은 19일 정오 김 위원장 사망을 공식 발표했다.

류 대사는 북한 노동당의 중국 파트너인 공산당 대외연락부 부부장 출신이다. 중국 정부는 또 발표 하루 전인 18일 북·중 외교채널을 통해 북한으로부터 김 위원장 사망 사실을 공식 전달받았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의 사인 규명을 위해 18일 부검을 했다고 보도한 만큼 북한 당국이 김정일 사인을 확정한 뒤 이를 중국에 통보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외교부가 북한의 사망 발표 당일 애도 논평을 내고,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등 4개 기관이 애도 전문을 북한에 보내 김정은 지지를 표명한 것은 이런 정황과 관련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다른 소식통은 이와 관련, 애도 전문에 ‘김정은 동지의 영도하에’라는 표현이 들어간 것은 북한의 요구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중국 지도부는 당초 ‘김정은’ 대신 ‘조선노동당중앙위원회’라고 표현할 계획이었으나 전문의 문구와 관련한 북·중 실무접촉 과정에서 북한이 김정은 이름을 넣어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는 북·중 양국이 김정은 후계 체제와 관련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음을 나타내준다는 분석이다.

 20일에는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 우방궈(吳邦國) 전인대 상무위원장, 리창춘(李長春) 정치국 상무위원,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베이징 북한대사관을 찾아 조문했다고 중국 언론들이 보도했다.

 중국의 발 빠른 움직임은 김 위원장의 뇌졸중 증상이 불거진 2008년 여름 이후 중국이 북한의 비상상황에 다각적으로 대비해왔다는 점을 시사한다. 김 위원장에 대한 중국의 신속한 조의 표시와 김정은 후계체제에 대한 지지는 대북 영향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