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국정 지지율…2년 반 만에 30% 아래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2년6개월 만에 30% 아래로 떨어져 29.7%를 기록했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의 영향을 받던 2009년 6월(28.5%)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2010년 6·2 지방선거(43.0%) 이후 30%대 중·후반~40%대를 오르내려 왔었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선 지난달 26일 정례조사(37.1%)보다 7.4%포인트 내려앉았다. 문제는 20%대로 물러난 지지율이 역대 정권에서 반복돼 온 ‘임기 말 5년차 증후군’의 본격적인 신호인지 여부다. 정한울 EAI 부소장은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강행 처리에도 보수층의 결집으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연이어 터진 친인척 비리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영삼·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의 아들과 관련한 비리가 터졌을 때처럼 국민들은 대통령 친인척 비리를 정권의 도덕적 기반이 무너진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달 들어 이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의원이 보좌관의 금품비리로 19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11일)한 데 이어 제일저축은행 구명로비로 부인 김윤옥 여사의 사촌오빠가 구속되고(14일), 연이어 손위 동서까지 연관됐다는 보도가 터져 나왔다. 중앙선관위에 대한 디도스 공격을 수사하는 경찰에 청와대가 압력을 가했다는 소문도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EAI는 분석했다.

 또 이번 조사 결과 한나라당 지지층 내부에서도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다는 점도 나타났다. 한나라당 지지자 10명 중 4.3명은 이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지만 77.5%는 박 전 대표를 차기 대선주자로 지지했다.

정효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