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업종 인력난 사회정책적 접근 필요'

중앙일보

입력

중소기업 3D업종 인력난은 경제논리로만 설명 될수 없으며 사회정책적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대 한인수(韓仁洙.경영학) 교수는 30일 `대전.충남지역 중소기업인대회'에서 "경제논리로 만 따지면 3D업종은 산업구조 내에서 도태돼야 마땅하지만 산업활동을 위해서는 필요 불가결하기 때문에 경제논리 보다 사회정책 차원에서 문제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이날 주제발표를 통해 "올 중소제조업체의 인력부족율은 중기업 5.2%,소기업 11% 등 평균 6.9%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3D분야는 평균치의 3배에 가까운 17.5%에 이르고 있다"며 시급한 대책수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3D업종 인력난 해소대책으로 ▲외국인 산업연수생의 확대 ▲산업기능요원 배정 확대 ▲공공근로사업인력의 효과적 활용 ▲원활한 고용정보 유통을 위한 고용정보망 강화 ▲3D업종의 열악한 근로환경 개선지원 등을 제시했다.

그는 또 "정보화 사회의 고도화에 따른 정보통신(IT) 기술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어 이 분야의 전문인력 부족현상도 심화되고 있다"며 이는 국내 뿐만아니라 세계적 현상으로 역시 발빠른 대책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정보통신 분야 인력난은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기피현상에서 비롯된 3D업종과는 달리 인력양성 부족이 주 원인"이라며 "현장 수요자 중 지원정책을 바탕으로 인문.사회계열 인력의 유도, 여성 인력의 적극 활용 등에 무게를 두고 장단기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대전=연합뉴스) 한승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