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수산물 국내반입 급증 우려

중앙일보

입력

최근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앞두고 있는데다 국내에서 소비가 많은 대중어종 양식에도 성공하면서 중국수산물의 국내반입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과 연근해 수산업계는 중국의 경우 이미 미국 및 유럽연합과 WTO가입 관련 양자협상을 타결한 상태로 올 하반기 WTO가입이 확실시되고 있어 수산물에 대한 통상압력도 가중될 전망이라고 27일 밝혔다.

중국이 WTO 정회원국이 될 경우 현재 높은 수입비중으로 25∼80%까지 조정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중국산 농어와 민어, 미꾸라지, 낙지, 명태살, 새우젓 등 수산물에 대한 관세완화를 요구하며 통상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

또 국내 생산량이 계속 줄고 있는 조기와 갈치, 낙지 등 대중어종도 수입빗장을 풀 경우 중국산이 대거 반입되면서 국내 수산업 전반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이와 함께 중국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요가 많은 조기류 양식에 성공한데 이어 병어와 갈치도 양식 성공단계에 들어가 조만간 대량생산체제를 갖출 경우 우리나라로 수출을 늘리려 할 것으로 보인다.

연근해 수산업계 관계자는 "중국산의 경우 우리나라와 거의 같은 어장을 사용하고 있어 수산물 자체 품질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며 "값싼 중국산 수산물이 대거 반입될 경우 연근해 수산업은 설 곳을 잃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중국산 수입수산물은 29만5천713t, 4억1천300만달러어치로 전체 수산물 수입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물량과 금액 모두 지난 98년보다 배이상 늘었다. (부산=연합뉴스) 김상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