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무역수지 수정전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제 목2000년 무역수지 수정전망 기 관산업자원부구 분기타첨부화일moc2000624-3.hwp◆ 당초전망 수출 1,600억불(11,4%), 수입 1,480억불(23.6%) 무역수지 120억불 흑자 ◆ 수정전망 수출 1,700억불(18.3%), 수입 1,600억불(33.6%) 무역수지 100억불 흑자 * 최대한의 수출확대와 수입절감 노력으로 당초전망 120억불 흑자에 근접토록 함□ 산업자원부는 금년도 무역수지를 수정전망한 배경으로 ㅇ 1∼5월의 수출입추세를 감안할 때 금년도 수출과 수입 모두 당초전망을 크게 상회할 것이 확실하여 재전망이 필요하고 - 5월까지 수출은 675.0억불(26.9%)로 당초전망 1,600억불(11.4%) 대비 42.2%의 진도율을 보여 최근 5년간의 평균 진도율 39.3% 보다 3%p정도 빠른 수준 - 수입은 654.5억불(48.3%)로 당초전망 1,480억불(23.6%) 대비 44.2%의 진도율을 보여 최근 5년간 평균진도율 40.4% 보다 3.8%정도 빠른 수준 ㅇ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1/4분기 12.8% 등 연초전망을 훨씬 웃도는 경제 성장(연간 6%수준 → 8%수준)으로 인해 큰 폭의 추가 수입수요가 예상되고, 특히 21일 OPEC의 일일 70.8만배럴 증산결정에도 불구하고 향후 국제유가 전망이 불투명함에 따라 무역흑자 전망을 다소간 하향조정하게 되었다고 밝혔음□ 그러나 산업자원부는 현시점에서 당초전망 120억불 흑자 달성과 관련하여OPEC의 증산결정이 하반기 유가안정으로 연결되고 현재 개당 8$ 수준인반도체 가격이 추가상승하는 등 유리한 여건의 전개도 기대할 수 있어 ㅇ 남은 기간중 주요품목의 수출동향 점검 및 애로사항 해소, 플랜트 수주확대, 중소기업의 해외전시회 참가 확대 등 수출확대 노력과 에너지 소비절약, 부품·소재의 수요창출 등 수입절감 대책을 강력히 추진하기로 하였음□ 하반기 수출확대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산업자원부는 6. 28일(수) 김 영호장관주재로 농림부 등 수출관련 부처의 차관과 주요 업종별 단체 대표 및수출지원기관 대표가 참석하는 「무역동향점검 및 지원대책회의」를 개최할계획임□ 금년도 수출은 원화절상 가능성, 동남아 금융시장 불안, 선·후진국의 수입규제 확산 등 불안한 요인은 있으나, 반도체 가격 상승, 엔화강세 및 세계경기 호조 지속 등 유리한 여건의 전개로 당초전망 1,600억불보다 100억불늘어난 1,700억불은 가능할 것으로 전망 ㅇ 수출증가율은 상반기25%수준에서 하반기에는 작년 수출호조에 따른 기술적 둔화로 12%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 * 수출증가율 : (1/4) 30.0% → (4월) 18.2% → (5월) 28.7% → (6월) 18% → (상반기) 25.1% → (하반기) 12.3% ㅇ 산업자원부는 마늘 긴급수입제한조치와 관련한 한·중 통상마찰이 장기화될 경우 금년중 최대 9억불의 수출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조기해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음□ 금년도 수입은 고유가로 인해 에너지부문에서 54억불, 고성장과 기타 국제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인해 66억불의 추가수입수요가 발생하여 당초전망1,480억불보다 120억불이 늘어난 1,600억불에 달할 것으로 전망 ㅇ 그러나 상반기 투자집중으로 인한 시설재 수입둔화, 경기조정국면 진입으로 하반기에는 수입수요가 크게 둔화되어 수입증가율이 상반기 45%수준에서 하반기에는 24%수준으로 크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 * 수입증가율 : (1/4) 51.8% → (4월) 46.6% → (5월) 40.9% → (6월) 30% → (상반기) 44.9% → (하반기) 24.2% ㅇ 금년도 수입의 최대변수는 국제유가 동향으로 하반기 평균도입단가가 26.5$/B(1,600억불 수입전망의 전제) 대비 1$/B 상승시 5억불의 추가적인 수입 증가효과가 발생** 참고자료는 첨부화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