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커버스토리] 30대 그룹 33% "사채발행 막혀"

중앙일보

입력

30대 그룹 중 네곳을 제외한 나머지 26개 그룹이 자금사정이 좋지 않아 외상 매출금을 회수하거나 보유 부동산과 주식을 매각하는 등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응답했다.10개 그룹이 회사채 신규·차환(借換)발행이 모두 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기업어음(CP)의 연장(리볼빙)이 거의 안되거나 전혀 되지 않는 그룹도 11개로 집계됐다.

대기업들은 돈가뭄을 해소하기 위해 ▶외상매출금 회수(12개 그룹)▶보유부동산 매각(11)▶투자 축소·보류(9)▶보유주식 매각(8)▶자본 제휴 등을 통한 외자유치(8)등의 대책을 주로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복수응답).이와 함께 30대 그룹 중 17곳이 앞으로 새로 대북사업에 진출하거나 이미 진출한 분야를 넓혀 나가겠다고 응답했다.

이는 21일 본사가 30대 그룹(4월 1일 공정거래위 대규모기업집단 지정 기준)의 재무팀장과 자금담당 임원을 대상으로 기업 자금난과 남북경협에 대해 설문조사한 것이다.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다=대기업의 자금사정에 대해 10개 그룹이 ‘약간 나쁘다’,9개 그룹이 ‘매우 나쁘다’고 응답해 응답 기업의 63.3%가 대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자금난의 원인으로는 14개 그룹이 ‘금융 구조조정의 지연’을 꼽았으며 13개 그룹이 ‘제2금융권의 자금 회수와 은행권의 대출 기피’를,9개 그룹이 ‘정부정책의 신뢰성 부족’을 들었다(복수응답).

회사채의 신규·차환 발행이 모두 안된다고 응답한 그룹이 10개,신규 발행은 안되고 차환도 일부만 된다는 그룹도 6개였다.기업어음 연장이 과거와 같은 조건으로 잘 되고 있다는 그룹은 12개에 그쳤다.

◇투자 계획도 보류한다=자금난이 풀릴 때까지 투자계획을 보류하겠다는 그룹이 20개로 집계됐으며,이 가운데 ‘전면 보류하겠다’고 응답한 그룹이 6개였다.

자금난 해소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복수응답)으로 27개 그룹이 ‘정부의 확실한 금융 구조조정 계획 발표로 시장 신뢰회복’을 들었다.이어 ▶투신부실 해소(17)▶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비율 신축 적용(8)▶부실기업의 조기 퇴출을 통한 우량기업의 자생력 제고(7)▶종금사에 대한 유동성 지원으로 기업어음 매입 여력 확대(6)등을 꼽았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10조원의 채권투자펀드 조성 등을 골자로 한 자금시장 안정대책에 대해 18개 그룹이 ‘약간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그저 그렇다’(7)와 ‘별 효과가 없을 것이다’(4)는 응답도 나왔다.

◇남북경협은 장기적으로 보고 한다=현재 남북경협 사업을 벌이는 그룹은 9개며,이 가운데 위탁 임가공이 7개로 가장 많고 반출입 거래와 직접투자는 각각 한그룹에 머무렀다.17개 그룹이 앞으로 대북사업에 새로 진출하거나 사업규모를 늘리겠다고 응답했으며,진출할 분야는 ▶직접투자(6)▶사회간접자본(SOC)사업(5)▶반출입 거래(3)▶위탁 임가공(3)등이다.

대기업들은 남북경협의 가장 큰 걸림돌로 투자보장협정·이중과세 방지·이익 송금 등 제도적 장치 미비(28개 그룹)를 들었다.대기업들은 또 ▶낙후된 북한내 사회간접자본과 물류비 부담(16)▶국내기업간 과당경쟁 및 중복투자(8)▶북한의 까다로운 상거래 관행·법규(4)▶신변안전 보장 미비(3)가 남북경협의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협에 임하는 기본 전략으로는 18개 그룹이 ‘당장 손해보더라도 장기적으로 이익이 날 것으로 보는 사업까지 한다’고 응답했다.‘당장 이익이 나는 사업이어야 한다’는 반응은 9개 그룹,‘남북화해와 평화통일에 기여하면 족하다는 그룹’은 3개였다.

김동섭·김상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