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물가안정은 누가 할 수 있을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1면


얼마 전 원유가격이 리터당 138원 인상으로 긴장감 속에 타결이 됐고 이로 인해 소비자는 유제품 및 식품의 가격이 상승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또한 계속되는 장마, 태풍 등으로 채소와 과일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인상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가장 큰 명절인 한가위를 맞이하게 된다. 한가위는 풍성하고 햇곡식이 가장 많은 명절인데 과연 올해도 그럴 수 있을까?

물가가 불안하면 국민은 당연히 정부가 물가를 안정시켜 주기를 기대하며 꼭 안정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못한 리더는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정부가 시장에 직접 개입해 가격을 통제하는 방식은 이미 효율성이 상실됐다. 정부가 물가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범위는 ▶구제역 등으로 인해 삼겹살 가격이 올라갈 때 수입 냉장 삼겹살을 대량으로 들여와 유통을 시킨다거나 ▶생산단계에서 국제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인한 비용 인상 요인을 완화하기 위해 세금을 인하해 준다거나 ▶유통구조를 효율화하고 선진화하는 정책을 도입해 유통비용을 축소하는 방법 등이다.

담합행위, 매점매석, 허위과장광고 등의 불공정 행위를 엄중히 단속해 건전한 가격경쟁을 유도하고 금융소외자가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업이나 자활을 돕는 지원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소비단계에서의 물가안정은 누가 해야 하나? 소비자의 몫이 가장 크다. 소비자가 돈을 쓰는 습관만으로도 수요와 공급을 조절해 물가안정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물품의 목록을 미리 작성하는 습관이 중요하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품을 구입하고 ▶많이 인상되는 품목은 대체상품을 이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소량 구매를 해도 되는 제품들은 묶음으로 다량 구매를 하지 않고, 가격표시를 확인해 비슷한 상품 간에 단위가격을 비교하는 습관을 가져야 하며,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을 정해 실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현금거래 시 편리함으로 인해 가격을 인상할 때 500원, 1000원 단위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통상적이나 사업자는 인상요인이 발생 될 경우 인상요인에 합당한 금액을 인상해야 하며 현금거래 시 100원, 200원, 300원 단위의 값을 지불하는 거래습관이 물가의 큰 폭 인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는 화폐의 구매력 증가에도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른 곳보다 싸네요” “요즘 이렇게 받아서 남는 게 있어요?” 등의 말로 소비자 스스로 물가인상을 부추기는 행위는 하지 말아야 하며 물가안정에 동참하는 업소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타 업소도 물가안정에 동참하게 만들어야 한다.

경제란 어차피 완벽하게 물리적인 관계가 아니라 고도의 심리적인 관계다. 경제관과 비전이 올바로 제시된 경제는 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국민들의 노력이 시너지작용을 해 경제의 선순환을 견인하고 그 과정에서 만족도가 상승돼 물가를 비롯한 거시지표가 안정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정부나 소비자 모두 주어진 상황이 비록 어려운 것이라 할지라도 변화의 속도와 방향을 올바로 직시하고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현실적 노력을 부단히 쌓아 나갈 때 우리는 비로소 진정한 물가안정 및 선진경제를 이루어낼 수 있다.

박수경 대한주부클럽연합회 충남지회 사무국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