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계 대출 중단,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22일 한국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이 876.3조원이라고 밝혔다.

이로 인한 가계대출 억제 방안으로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가계대출을 중단한 실정이다. 대출이 과다하면 개인 뿐만 아니라 사업체에 까지 악영향을 끼쳐 국가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깨뜨리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므로 금번 금융기관의 조치는 충분히 납득할 만 하다.

인터넷 문화의 발달과 각종 상거래 기법이 다양해 짐에 따른 거품 섞인 문화적 요구사항의 수위가 높아진 탓도 매우 크다고 볼 수 있기에 금번 대출 중단의 사태는 이런 증상에 대한 사회적 경고등이 켜진 것으로 해석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진정성 있는 계획을 가진 소상공인(개인사업자)과 개인 들의 입장에서는 생산적인 목적의 자금투입이 불가능하다고 볼 수도 있다. 과다한 소비는 줄이고 감당할 수 있는 만큼으로 절제된 대출을 이용한다면, 대출은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자신의 투자라고 볼 수 있다.

즉, 대출받은 자금이 종자돈이 되어 자신 또는 자신이 운영하는 사업체가 계획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 원동력이 되어 오히려 생산적 선순환의 역할을 하여 경제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

그렇다면, 무언가에 필요한 시드머니가 화두인 것인데 이를 구할 수가 없다면 미래 계획을 위한 생산적 자금은 어디서 어떻게 구해야 할까? 함께 풀어야 할 숙제이자 고민이다.


해법 중의 하나로 소셜금융을 들어볼 수 있겠다. 소셜금융이란, 다수의 투자자가 십시일반 소액으로 모은 자금을 자금 수요자에게 대출 또는 펀딩의 방법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소액이 모이지만 다수가 참여하기에 목적한 자금을 모집하는데는 무리가 없다. 그러나, 일반적인 금융기관이 결정한 자격조건과는 다르지만 소셜금융을 이용하기 위해서 특별한 조건이 있다.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금액과 상환조건은 직접 결정하지만, 자금의 이용 목적과 미래계획, 그리고 상환의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반드시 투자자들에게 제시하고 선택받아야 한다. 보편 타당한 설득력은 투자자들의 집단지성에 의한 선택을 끌어낼 수 있다.

따라서, 소셜금융은 지금과 같은 대출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유일한 탈출구이지만, 막연한 현 상황보다는 무엇을 하려는 것인지, 어떻게 상환해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스마트한 프로젝트계획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투자를 받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이용상의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

유럽과 북미 등지에 이미 100여개 이상의 사이트가 활성화되어 있고, 국내에도 10여개가 있다. 머니옥션의 한 관계자는 “최근 들어 신용등급 관리에 관심이 있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자율 또한 낮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미래계획을 가진 사람들이라면, 지금과 같은 대출 중단 사태에 낙담할 필요가 없다. 자신만의 프로젝트가 있다면 엔젤투자자들이 모여있는 소셜금융에는 해법이 있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