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대기업들 북한 SOC사업중 전력난 해소에 최우선

중앙일보

입력

남북한 경제협력에 따른 '북한내 사회간접자본(SOC)특수' 는 전력.철도.항만.천연가스 사업의 순서로 진행될 전망이다.

또 북한의 농업기반 사업은 남북한이 합영회사를 설립한 뒤 이를 통해 계약재배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현대그룹 등 민간 대기업들은 북한의 SOC 사업추진에 대해 이같이 의견을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 경협사업에 관계하는 모 대기업의 고위 관계자는 "남북정상회담 때 SOC를 중심으로 경협추진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 이라며 "재원은 한국정부 주도로 미국.일본.유럽 등 다국적 기업에 의한 기금조성 등 여러가지 방안이 강구될 것" 이라고 말했다.

SOC사업의 경우 북한에 진출하려는 국내외 기업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전력난을 먼저 해결한다는 것. 오는 6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투자보장협정 등이 맺어지면 전력사업을 위한 실무팀이 이르면 7~8월께 북한에 파견될 것으로 업계는 관측했다.

이와 관련, 한국전력은 ▶현대건설.한국중공업 등과 함께 추진하는 화력발전소 건설 사업▶수풍댐 등 수력발전소 수리▶남한내 여유전력의 대북한 송전 채비를 갖추고 있다.

수송로는 철도를 먼저 확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는 관련업계의 주장에 따라 경원선과 경의선을 우선적으로 복원해 연결하며, 항만은 해양수산부와 민간기업이 함께 추진 중인데 서해안 및 두만강 유역이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다.

관련업계는 공업단지 조성과 도로건설의 경우 전력공급과 철도.항만시설 공사의 진척상황에 맞춰 신축성있게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예를 들어 현대가 계획 중인 서해안공단 2천만평 조성사업은 현대건설이 중심이 돼 인근에 전력공급 시설을 먼저 건설한 뒤 배후도시 조성과 함께 공단을 개발한다는 것.

업계는 또 에너지사업으로 극동 러시아 지역의 천연가스를 북한과 남한을 거쳐 일본까지 파이프로 공급하는 것을 장기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

농업협력 사업의 경우 남북한은 합영회사를 설립해 대규모 영농단지를 운영할 계획이다.

북한은 경작지와 노동력을 제공하고, 남한은 비료.농약.씨앗.기술을 공급해 계약재배하는 방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북한은 마을마다 5백㏊(약 1백50만평)규모의 협동농장이 있어 합영회사와 제휴하는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없을 것" 이라며 "중국 등에서 수입이 불가피한 품목인 땅콩.잡곡.한약재 등 밭작물을 중심으로 경제성을 확보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현재 북한내 2백만㏊의 경작지 중 70%가 밭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