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 미 중심의 상업주의 한마당

중앙일보

입력

경제토론장으로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다보스포럼에 대한 비판론이 일부 정치.경제계 지도자들과 언론.비정부기구(NGO) 들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다보스포럼이
부자 나라들만의 ''독점적 회의'' 라거나
점점 상업화하고
미국 주도의 세계경제질서 재편을 기도한다는 비난들이다.

조지프 스티글리츠 세계은행 부총재는 27일 "전세계 가난한 나라들에게 앉을 자리조차 내주지 않는 포럼에서 해당 국가에 불이익을 줄 수도 있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있다" 고 다보스포럼을 비난했다.

프랑스에선 아예 자크 시라크 대통령과 리오넬 조스팽 총리 두 사람 모두 참가하지 않았다. 올해로 서른번째를 맞는 다보스포럼 역사상 프랑스 대통령이나 총리가 참석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이들 프랑스 정상의 불참 이유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진 않았으나, 프랑스 일간지 르 피가로가 27일 "프랑스 인사들이 지나치게 미국적인 분위기의 다보스포럼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고 지적, 프랑스내 분위기를 대신해주고 있다.

워싱턴포스트 역시 최근 포럼에 참가하는 상당수 기업이 최고 25만달러(약 2억8천만원) 씩 세계경제포럼(WEF) 에 기부한 가운데 기부금을 많이 낼수록 더 많은 발언권이 보장되는 등 포럼이 상업적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