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에게 불쾌한 이 대통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명박 대통령(左), 정운찬 위원장(右)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의 이른바 이익공유제(profit sharing) 도입론과 관련해 복수의 청와대 관계자들이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5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정 위원장이 주장하는 이익공유제는 그분 개인의 생각일 뿐이며 이명박 대통령의 생각과 다르고 정부의 입장도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동반성장위는 민간기구로서 정 위원장의 발언은 청와대·정부와 아무런 교감이나 협의를 거치지 않은 채 이뤄졌다”며 “이명박 정부의 생각은 대기업을 옥죄어서 중소기업과 상생하자는 게 아니고, 대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서로 동반성장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고위관계자는 “정 위원장이 주장하는 이익공유제는 경제적·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정운찬식 동반성장론이 이명박 정부의 공정사회 정책에 혼선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가 동반성장을 지향하는 건 맞지만 정 위원장은 너무 많이 나갔다”며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부인하기도 뭐해 난감한 입장에 처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 고위 정책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자신이 총리로 임명했던 정 위원장 발언이 공정사회 철학에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는 것으로 들었다”면서 “이 대통령이 불만스러운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기업의 이윤을 반강제적으로 나누는 식의 발상은 안 된다는 게 이 대통령의 생각이라는 것이다.

신용호·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