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포켓몬이 이야기해주는 대미 만화시장

중앙일보

입력

영화 〈포켓몬〉이 미국 전지역에서 개봉되어 디즈니사를 가볍게 재치는 흥행성적을 올렸다는 뉴스가 전해진 후, 이제서야 아메리카의 어린이들도 일본의 에니메이션 정서를 인지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들이 들려오기 시작한다.

지금까지 몇 번인가 일본의 영화가 미국에 상륙했었지만 전미 대히트를 기록한 작품은 없었다. 예를 들어 구로자와아키라 감독이라 할지라도 명화좌클래스의 히트였으며, 만화영화는 말할 여지도 없었다.

일본만화영화가 미국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이유는 캐릭터의 커다란 눈이 미국인들에게는 부자연스럽게 보였다는것이 큰몫을 차지할 것이다. 커다란 눈동자가 장해가 되어서 미국인들에게 먹히지 않았다는 정설이 생겨날 정도로.
생각해 보면 미국의 만화 캐릭터들은 대체로 인간과 비슷한 눈매를 가지고 있고, 최근들어 미국 만화영화에서도 꽤 눈을 크게 그리고 있는것은 일본만화영화의 영향일지도 모른다는 일견도 돌고 있다.

미국영화는 프로덕션 매니지먼트와 마켓팅, 그리고 미디어믹스의 기술에 의해서 유지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영화산업은 그중 어느 것 하나도 튼튼하지 못하다. 그런데, 최근 몇 년, 게임산업계가 이 기술구조를 실현해내기 시작했다. 게임에서 파생되어 나온 '포켓몬 카드'는 미디어믹스의 견본을 보여준 것이다. 환상적인 만화와 게임의 믹스는 금새 일본열도를 장악하고 텔레비젼 에니메이션, 영화등을 대히트시켰다. 그 열기는 일본에서 끝나지 않고 미국대륙으로 건너가 미국의 어린이들에게까지 인기를 얻게 된 것이다.

몇 해 전에 미국에서 건너온 트래딩카드는 일시적으로 붐을 일으켰지만 어린이들에게까지는 인기를 얻지 못했다. 트래딩카드는 일본의 어린이들에게는 무리인것처럼 보였지만, 포켓몬카드는 그런 걱정을 일격에 없애 주었다. 게임, 카드, 코믹북등과 함께, 텔레비젼만화영화에 의한 침수력을 무기로 일본전역에 돌풍같은 카드붐을 일으켰다. 이 일본의 카드붐이 아메리카대륙으로 옮겨간 것이며, 그 덕분에 만화영화 역시 히트를 기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제 미국과 일본의 어린이들이 비슷한 의식과 정서를 가지게 되었다고 바라볼 수 있을지, 이제부터 일본만화시장은 확실히 최소한 두개의 시장을 가질 수 있을 것인지의 질문을 던져주는 좋은 사례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