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주력사 워크아웃 지연따른 타격 막심

중앙일보

입력

대우 주력사 가운데 대우전자를 제외한 ㈜대우,대우중공업, 대우자동차, 대우통신 등이 채권단협의회에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플랜이 부결되거나 부결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해당 계열사들이 몸살을 앓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24일 채권단협의회가 열린 대우전자, 대우통신, 대우 중공업 3사 가운데 통신, 중공업의 워크아웃이 부결됐으며 25일 오후 첫 채권단협의회가 열리는 대우 자동차도 부결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특히 ㈜대우의 경우 법정관리 신청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어 주력사들 대부분이 뒤숭숭한 분위기다.

해당계열사들은 "채권단 동의를 얻어내는데 시간이 좀 걸릴 뿐이지 전체적인 흐름은 워크아웃 통과쪽으로 가닥이 잡혀 있는 상태"라면서 앞으로 몇차례 더 이견 조정을 거쳐 워크아웃 플랜이 확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이들 회사는 "워크아웃의 지연으로 국내 부품.협력사들과의 거래에서 융통성이 갈수록 축소되고 있으며 해외부문에서 수출, 수주영업 등에서 상당한 타격을 입고 있어 최대한 빨리 워크아웃 확정이 이뤄져야만 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주력사 가운데 유일하게 법정관리 신청 가능성이 제기된 ㈜대우는 건설부문의 경우 법정관리에 들어간다고 가정할 때 연간 3천억∼4천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자체 분석했다.

특히 공공공사의 경우 적격심사 점수에서 5점이 감점돼 사실상 수주가 불가능해지며 이미 공
사 시행자로 결정된 영동선 철도 이설공사, 경춘선 노반공사, 해군기지 등 공사가 계약 취소되고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의 수의계약도 불가능해질 것으로 우려했다.

또 건설공제조합 등 보증기관으로부터 보증을 받지 못해 민간공사도 수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게다가 공사 현장에 대해 채권단이 가압류 조치를 취해 공사 시행도 6개월 이상 중단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민간 아파트 분양의 경우 입주 지연으로 인한 입주 예정자들의 항의 등으로 사업에 큼
큰 지장을 받을 것이라는 것이 대우 건설측의 주장이다.

무역부문도 이미 오래전부터 바이어이탈과 수출오더 감소 등이 진행돼 왔으며 법정관리 신청 후 이 상황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했다.

대우자동차의 경우 2-3차례 채권단협의회를 거친 다른 계열사와 달리 이날 처음 협의회가 열리기 때문에 곧 바로 워크아웃 플랜이 통과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회사 내부의 시각인 듯 하다.

회사 관계자는 "몇주내 워크아웃안이 통과되겠지만 시간 지연에 따라 부품.협력업체들이 납품대금 회수의 불투명을 우려, 신용거래를 축소하는 등 영업에 지장이 만만찮은 상태"라고 말했다.

국내 소비자들이 대우문제를 충분히 숙지, 내수판매에서는 큰 영향이 없으나 해외에서는 워크아웃 지연에 따른 신뢰도 하락으로 수출감소가 이어질 수 있다고 회사는 지적했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