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복지법’ 친이계 41명도 도장 찍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박근혜(사진) 한나라당 전 대표가 11일 발의한 사회보장기본법 개정안에 의원 123명이 서명했다. 서명한 의원들은 한나라당 의원 114명에 미래희망연대(옛 친박연대) 의원 7명, 무소속 최연희·정수성 의원 등이다. 사회보장기본법 개정안엔 ‘평생 사회안전망’ 구축을 골자로 한 박 전 대표의 ‘한국형 복지 구상’이 담겨 있다.

 한나라당 서명 의원 114명은 당 소속 의원 171명의 67% 선이다. 한나라당 당론은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채택된다. 박 전 대표의 복지 구상이 당론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서명 의원들 중엔 친이명박계 의원도 다수 포함돼 눈길을 끈다. 친이계로 꼽히는 주호영·강승규·권택기·김영우·조해진 의원 등 41명이 도장을 찍었다. 9일 의원총회에서 “유신시대 때 청와대에서 호의호식했다”고 박 전 대표를 공격했던 강명순 의원, 남경필·나경원·진영 의원 등 중립 성향의 21명도 이름을 올렸다. 친박계는 52명이 참여했다.

 이런 가운데 이재오 특임장관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선) 2년 전부터 대통령에 나온다든지, 대통령이 다 된 것처럼 일하는 것은 국민을 많이 피곤하게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너무 일찍 서두르는 감이 있는데 적어도 올해는 누구든 이명박 정부 성공에 올인하는 게 가장 훌륭한 대선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사실상 박 전 대표를 겨냥한 견제용 발언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올해 초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을 출범시키고 ‘한국형 복지 구상’을 밝히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장관이 앞장서고 있는 개헌 논의엔 거리를 두고 있는 상태다.

 이 장관의 발언에 대해 박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박 전 대표에게 해당하는 사항이 없지 않으냐”고 받아넘겼다. 물밑 기류는 다르다. 한 친박계 의원은 “무례한 소리”라고 비판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