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채권단 '대우빚 유예' 수용 불투명'

중앙일보

입력

대우의 해외채권단이 28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요구한 대우 채무 지불유예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보여 대우 12개 계열사에 대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정부는 해외채권단이 지불유예안에 동의하지 않아 워크아웃 계획 확정을 위한 투표를 하지 못하더라도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대우 손실규모를 확정하고 워크아웃 의결절차 없이 국내 채권단의 채무조정 작업을 계속할 방침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27일 "해외채권단이 동의하지 않으면 대우 워크아웃이 반쪽밖에 안되지만 현 방식을 계속 추진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며 "해외채권단도 당장 채무변제 소송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본다" 고 말했다.

대우가 현지금융을 통해 조달한 외화 차입금은 99년 6월말 현재 76억달러다. 해외채권단은 대우자산.지분양도.채무조정안 등에 거부권을 주고 워크아웃 초안 마련후 30~60일의 검토기간을 달라고 요청했으나 국내 채권단과 합의하지 못했다.

정부는 또 ㈜대우에 대해 무역과 건설부문을 분리, 양사의 부실만 별도 회사로 떼어낸 뒤 각각 독자회생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대우의 자산초과 부채규모가 너무 크다는 점 때문에 워크아웃 탈락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으나 무역.건설부문의 부채비율을 대폭 낮춰줄 경우 충분히 생존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고 밝혔다.

이에 앞서 ㈜대우는 무역.건설 외에 별도의 관리부문 회사를 설립한 뒤 무역.건설에 적정규모의 부채와 사업추진시 꼭 필요한 일부 자산만 남기고 나머지 부채와 자산을 관리회사로 넘기자는 방안을 마련했다.

한편 대우그룹 채권단은 또 향후 워크아웃 추진과정에서 출자전환 및 전환사채(CB) 전환 등을 통해 취득하게 되는 대우 계열사 주식에 대해 경영진 및 종업원에게 '우선매수청구권' 을 부여하기로 했다.

예컨대 A사가 경영을 잘해 일정한 경영목표를 달성할 경우 채권단이 보유한 지분을 A사의 경영진이나 종업원들이 우선적으로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는 것이다.

채권단은 또 향후 대우 계열사들과 김우중(金宇中)회장이 내놓은 공동담보 자산을 매각한 대금으로 ▶선순위 채권 ▶해외 무담보채권자 ▶7월 제공한 신규자금 4조원 ▶워크아웃 개시 이후 추가 지원자금의 순으로 상환토록 결정했다.

이영렬.신예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