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채권단, "㈜대우 건설·무역 워크아웃으로 살린다"

중앙일보

입력

정부와 채권단은 손실률이 59%에 달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탈락설이 돌고 있는 ㈜대우에 대해 건설·무역부문을 분리해 살리고 부실자산은 관리부문으로 몰아 정리하는 방식으로 워크아웃을 진행할 방침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7일 ㈜대우의 손실률이 너무 크다는 점을 들어 일각에서 퇴출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건설·무역부문의 경우 부채비율을 낮춰 클린컴퍼니로 만들어주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삼일회계법인이 채권단에 제시한 워크아웃 방안에 따라 ㈜대우에서 건설과 무역부문을 떼어낸뒤 이들 부문이 독자회생할 수 있는 적정부채를초과하는 부분은 모두 관리부문으로 넘겨 정리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우의 부채규모가 너무 커 이를 모두 떠안고는 회생이 불가능한 만큼 채권단 입장에서도 건설과 무역을 우량기업으로 떼어내 기업가치를 높인뒤 매각하고 나머지 부문은 청산하는 것이 ㈜대우를 퇴출시키는 것보다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건설부문만을 떼어내고 무역부문은 ㈜대우에 남겨 독자생존하도록 했던 당초의 구조조정방안과 다른 것이다.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가 대우계열사의 자금창구 역할을 하면서 부채규모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난데다 회사채와 기업어음(CP) 등 직접금융 부채가 10조원에 달해 이대로 워크아웃을 해서는 회생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 무역부문이 그동안 영업망 구축을 위한 인적·물적 투자가 많았기 때문에 향후 사업성과 수익성이 높아 클린컴퍼니로 분리할 경우 충분한경쟁력을 지닐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채권단의 실사결과 ㈜대우는 부채가 26조3천억원인 반면 자산은 11조8천억원으로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액이 14조5천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