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대신 중앙일보 사설 읽고 매일 토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아빠는 매일 신문의 칼럼과 사설을 오려 아이 책상 위에 올려놓았다. 저녁 때는 내용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아이가 중학생 때부터 시작된 습관은 고교생 때까지 이어졌다. 신문 두 부를 정기구독하며 아이와 함께 토론해 주는 것이 가난한 아빠가 해줄 수 있는 유일한 ‘사(사적인)교육’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아이는 지난해 고려대 수시전형에서 논술 우선선발 전형으로 합격(경영학과)했다. 일반고에 다니던 큰딸이 사교육 한 번 받지 않고 이룬 쾌거였다.

 1일 서울시교육청이 발표한 ‘사교육 없는 자녀 교육 성공사례’ 공모에서 최우수상을 받게 된 한희석(48·서울 종로구)씨의 자녀교육 스토리다. 한씨가 밝힌 노하우는 ‘신문 읽기’. 중앙일보 등 일간지 두 부를 정기구독한 것이 주효했다고 한다. 기자나 각계 전문가들이 사실과 의견을 담는 칼럼이 가장 훌륭한 교재였다는 것이다. 경제·문화·환경 등 아이가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는 칼럼을 골라 읽혔다. 한씨는 “중앙일보는 사실을 그대로 전달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많이 제시해 가장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한씨는 큰딸이 초등생일 때 실직했다. 아내가 “어려운 형편에 신문 두 부를 계속 보는 것은 사치”라며 끊자고 해 다투기도 했다. 그러나 한씨가 고집해 ‘신문 교육’은 계속될 수 있었다. 중1 때 반에서 27등이던 성적이 중3 때는 전교 5등으로 뛰었다.

 한모(18)양은 “중앙일보는 같은 사건에 대해 여러 가능성과 대안을 제시해 준다”며 “내 생각을 정할 수 있는 선택의 스펙트럼이 다양해져 논술에 도움이 많이 됐다”고 말했다.

박유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