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도장' 안 찍어도 불이익 없는 문화 만들어야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94호 20면

정부가 7월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노동인구의 30%가 스마트워크로 일하는 환경을 만드는 게 골자다. 스마트워크는 최근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 아니다. 이전에도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 형태로 ‘u-Work(ubiquitous work)’라는 개념으로서 추진된 적이 있다. 스마트워크 기본 개념의 기원은 이러한 u-Work에 있다. 정부의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이 u-Work와 유사한 부분이 많은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스마트워크 성공하려면

그러나 u-Work란 말이 익숙한 것에 비해 활성화는 제대로 안 돼 있다. 비슷한 시기에 u-work를 함께 추진한 다른 나라들 가운데는 성공사례가 있다. 스마트워크를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u-work의 추진 과정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기존의 u-Work 추진은 하드웨어와 플랫폼 위주로 언제 어디서나 ‘더 일할 수 있는(work more) 환경’을 제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반면 스마트워크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기반으로 ‘똑똑하게 일하게(work smart)’ 하고, 삶의 질을 개선시켜 창조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마트워크 근로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언제 어디서나 사무실과 동일한 업무 수행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업 내 조직원뿐만 아니라 스마트워크 근무자 간에 협업할 수 있는 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유무선 네트워크, 그룹웨어, 모바일 기기와 사무실 기기의 융합은 스마트워크에 필수적이다.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은 스마트워크를 실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정도로 발전해 있다. 그러나 아직 양적으로 충분하지는 않다.

중단되지 않고 지속가능하게 스마트워크 근무자들이 일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스마트워크에 적합한 직무와 근무 형태, 운영 방법, 평가제도를 구축해야 한다. 얼굴을 맞대지 않거나 밖에서 근무한다고 해서 스마트워크 근무자들이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된다.

스마트워크는 정부·기업·근로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저이산화탄소 정책의 실현과 정부청사 이전에 따른 문제 해결책을 스마트워크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공공부문에서 스마트워크 성공사례가 만들어지고, 이로부터 법·제도가 잘 정비되면 민간부문으로 확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이다. 기업은 자원과 인력 유지 비용 감소의 효과를 누림으로써 경쟁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개인은 시간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고 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